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동향정보발간 간행물KMI 동향분석

KMI 동향분석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 표시 필요, 사업적 이용 불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제51호('국민 횟감’ 자리매김한 수입 연어,안정적인 먹거리 차원 관리 필요) 표지
  • 구분 KMI 동향분석
  • 호수 제51호('국민 횟감’ 자리매김한 수입 연어,안정적인 먹거리 차원 관리 필요)
  • PDF PDF Download PDF Download 문서뷰어로 열기
  • 공공누리 제 4유형

목차 / 국문요약

목차 / 국문요약

□ 국내 연어시장, 3만 톤 규모로 지난 20년 간 6배 확대

 연어류 광어․우럭 다음의 ‘국민 횟감’으로 등극, 소비도 급증

 국민 횟감 연어, 수급모니터링 및 안정적인 먹거리 관리 필요



 이번 주 KMI 동향분석 제51호, '국민 횟감' 자리매김한 수입 연어, 안정적인 먹거리 차원 관리 필요를 송부 드립니다. 연어는 최근 광어, 우럭과 함께 '국민 횟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메가-3'등의 함량이 높아 웰빙식품으로 인식되면서 국제적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2016년 세계 연어 교역규모는 지난 수십 년간 수산물 부동의 1위를 차지하던 새우를 넘어섰고, 우리나라 역시 1997년 2천 톤에 불과하던 수입량은 2016년 2만 8천 톤으로 10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국민들의 주요한 먹거리로 자리매김한 연어의 안정적 공급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위해선 보다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필요합니다.


이번 주 동향분석은 급성장한 국내 연어시장 수급 현황을 살펴보고 국민 횟감으로 등극한 연어의 안정적 공급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간헐적으로 파악해오던 세계 연어 수급 동향을 '체계적이고 정례화'된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아울러 안정적 연어 공급을 위해서 주요 생산국과의 합작투자나 생산업체의 인수합병을 통한 '연어 공급 다변화 방안', 장기적으로는 내수면 양식보다는 해면을 활용한 연어률 생산 등을 통해 국내 연어류 생산량을 늘려 수입의존도를 낮추는 방안 등을 제시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