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항만 > 항만수요예측센터]2017-10-25 16:52:09/ 조회수 1162
    • < 앤트워프항, '17년 3분기 누적 물동량 증가세 기록>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 앤트워프항, '17년 3분기 누적 물동량 증가세 기록>

      - '17년 9월 누적, 앤트워프항의 총 물동량은 전년대비 3.3% 증가한 1억 6,710만 톤을 기록함
      - 고체벌크를 제외한 모든 화물에서 증가세를 기록하였으며 남은 분기에도 물동량 증가추세는 유지될 것으로 기대됨

      (컨테이너)
      -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대비 3.7% 증가한 9,109만톤을 처리(3.2% 증가, 780만TEU)
      - 적컨테이너가 4.6% 증가한 반면, 공컨테이너는 4.4% 감소함
      - 노선별로 살펴보면 북미는 9.5% 증가, 극동은 9.3% 증가하였으나 유럽 컨테이너 교역량은 4.5% 감소함
      - 컨테이너 증가 원인으로는 신규 얼라이언스 개편 및 신규 노선 취항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

      (브레이크벌크)
      - 브레이크벌크 화물은 전년대비 7.7% 증가한 783만 톤을 처리함
      - Ro-Ro화물이 전년대비 10.7% 증가한 375만 톤을 처리하면서 강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 특히, 제지화물 수입량이 89%(+25만톤) 증가함
      - 차량은 전년대비 3.4% 증가한 919,783대를 처리함
      - 철재류도 상승세를 기록하였는데 인도에서의 수입은 190% 증가한(+60만톤) 반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38%감소함(-32만톤)
      - 이는 유럽의 중국산 철재품목의 반덤핑 조치에 의한 것으로 보여짐
      - 또한, 최근 EU에서 러시아, 브라질, 우크라이나, 이란에서의 코일 수입에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이들 국가의 철재 수입이 극격히 감소하였음

      (액체벌크)
      - 액체벌크는 전년대비 2.4% 증가한 5,446만 톤을 처리함
      - 전반적인 상승의 이유는 원유수입의 증가로 전년대비 28% 증가한 4,360만 톤을 처리함
      - 화학제품의 경우 전년대비 2.0% 증가한 1,064만 톤을 기록함

      (고체벌크)
      - 고체벌크는 전년대비 0.8% 소폭 감소한 920만 톤을 처리함
      - 고체벌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료의 경우 전년대비 7.4% 증가한 283만 톤을 처리하였으며, 철광석 수입도 전년대비 23.2% 증가한 184만 톤을 기록함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