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해양 > 중국연구센터]2018-01-19 17:52:05/ 조회수 1833
    • 2017년 12월 중국 수출 컨테이너 운임시장 분석 보고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2017년 12월 중국 수출 컨테이너 운임시장 분석 보고

      ■ 2017년 12월, 중국 수출 컨테이너 운임 전반적으로 하락
      2017년 12월, 중국 수출 컨테이너 운송시장은 성수기의 끝에 접어들었다. 다수 항로의 운송수요가 감소했으며, 선사는 운임조정을 통해 대책을 마련했지만 대다수는 기대한 성과에 못 미쳤고, 시장 운임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2017년 12월, 상하이해운교역소가 발표한 중국 수출 컨테이너(CCFI) 종합운임지수는 평균 768.40점으로 전월 대비 평균 2.1% 감소하였다. 시장 상황을 반영한 상하이 수출 컨테이너 종합운임지수는 평균 730.15점으로 전월 대비 평균 5.5% 하락하였다.

      ■ 유럽항로 전반적인 약세
      유럽항로는 시장이 성수기 끝에 접어들었고 운송수요가 기복이 있는 편이다. 월초부터 부분 항차 선복운임은 상승세이나 시장 분화전략으로 인해 분위기를 관망하는 경향이 커서 운임은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후 선사는 월중, 월말에 모두 운임 상승 계획이 있었으나 화물량이 적어 운임 상승 폭에는 제한이 있었다. 12월, 중국 수출 컨테이너의 유럽항로 운임지수 평균은 1,017.25점으로 전월 대비 평균 0.3% 상승했다.
      지중해항로는 수요가 하락하여 선박 이용률에도 영향을 미쳤고 선사의 월초 운임회복 계획이 실현되지 못했다. 월중의 운임 상승계획은 시장 부진에 따라 취소되었고 시장 운임은 약세가 지속되었다. 월말은 연말연시 특수로 인해 시장운임이 약간 상승했다. 12월, 중국 수출 지중해항로 운임지수는 평균 864.35점으로 전월대비 평균 6.9% 하락했다.

      ■ 북미 시세 전체적으로 반락  
      북미항로는 항로 운송수요가 상승했다 다시 하락하는 반락현상이 있었고 동시에 선박 대형화의 영향으로 선복 과잉상황이 심화되었다. 월초, 미서부와 미동부 항로 상하이항 선복 이용률은 90% 수준까지 하락했다. 이 영향으로 선사는 신중히 월초 운임 상승계획을 추진했고 시장 운임이 다소 상승했다. 이후 시장운임은 소폭 상승하는 듯 했지만 전체적 시세는 약간 하락했다. 12월, 중국 수출 미서부, 미동부 항로 운임지수 평균은 각각 605.59점, 770.81점으로 전월대비 각각 3.7%, 2.1% 하락했다.

      ■ 오세아니아 항로 다소 조정
      오세아니아 항로의 운송수요가 초기에는 약간 하락했고 선복 부족 상황이 해결되었다. 부분 선사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운임을 낮췄고 시장 운임이 완화되었다. 운송수요는 연말 소폭 상승하였고 선사도 운임을 소폭 상승 조정하였다. 12월, 중국 수출 오세아니아 항로 운임지수는 평균 911.67점으로 전월대비 평균 4.6% 상승하였다.   
        

      ■ 남미 운임 높은 수준 유지하며 요동
      남미항로는 시장 화물량이 일정했고 동시에 선사의 선복 조정조치의 영향으로 상하이항 선박 평균 선복 이용률은 95%를 유지하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부분 항차에서 운임하향 조정으로 화물유치를 하려는 시장의 움직임은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일정한 상태를 유지했다. 선사의 여러 차례 운임상승 움직임으로 시장운임은 반등과 하락을 반복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12월, 중국 수출 남미항로 운임지수 평균은 739.59점으로 전월대비 평균 6.4% 하락했다.

      ■ 일본항로 안정세 유지
      일본항로는 운송수요가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추세를 보임에 따라 시장 운임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12월, 중국 수출 일본항로운임지수는 평균 670.91점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다.
             
      (출처 : 上海航运交易所, 2018. 1. 3.)
      http://www.mot.gov.cn/yunjiazhishu/chukoujizhuangxiangyjzs/201801/t20180104_2968452.html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