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2019-03-30 17:32:31/ 조회수 1997
-
해양쓰레기 문제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발전 목표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UN이 발표한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 17개 중에서 해양쓰레기 문제와 관련해서 주로 언급되고 있는 것은 SDG 14이다. 이 목표는 2025년까지 해양쓰레기 및 유기물 오염을 포함하여 특히 육상 기인 활동으로 인한 해양 오염 등 모든 종류의 해양 오염을 예방 및 저감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쓰레기 관련 시민단체인 Plastic Soup Foundation은 SDG 14로만 해양쓰레기 문제를 바라보는 것은 지나치게 단편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해양 플라스틱 오염이 수거, 재활용, 소각 등을 통해서 ‘적절하게’ 해결될 수 있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접근 방식은 해양쓰레기 문제를 결국 정부의 ‘관리’ 문제로 축소시킬 위험이 있으며 산업계의 책임은 반대로 경감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SDG 14만을 언급함으로써 해양쓰레기가 건강에 미치는 위험과 플라스틱 생산량의 지속적인 증가 문제는 주목받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Plastic Soup Foundation은 해양쓰레기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SDG14 외에도 SDG 3(건강과 웰빙), SDG 6(깨끗한 물과 위생), SDG 11(레질리언스와 지속가능 도시), SDG 12 (지속가능 소비와 생산), SDG 13(기후변화)의 시각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중에서도 특히 SDG 3과 SDG 12가 핵심이다.
https://impakter.com/fighting-the-plastic-soup-solutions-for-a-less-polluted-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