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수산 > 해외시장분석센터]2019-05-10 17:56:49/ 조회수 3614
-
해조류, 주류식품으로 부상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친숙한 해조류가 미국·EU 등에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을까요?
과거에는 김을 검은 종이(Black paper)라고 부를 만큼 해조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낮았지만, 스낵 등 제품 다양화, 초밥문화 등 식문화 확산, 건강식품으로 인식되면서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높아진 인지도 만큼 해조류 교역도 활성화
해조류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해조류 교역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세계 해조류 교역액(HS 121221)은 2014년 11.7억 달러에서 2018년 14.8억 달러로 연평균 6.1%의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였습니다. 조미제품까지 포함할 경우 해조류 교역액은 연간 2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 세계 주요국 해조류 양식에 대해 관심
해조류의 연간 생산량은 3천만 톤 수준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 양식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최근 해조류에 대한 세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호주, 미국 등에서도 해조류 양식에 대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 호주 : 모레톤만 베이(Moreton Bay) 등
- 미국 : 캘리포니아 해역 등
▶ 해조류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 개발
건조품 중심의 상품에서 벗어나 스낵, 샐러드, 조미료 등 상품군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치약, 맥주 등의 재료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태국의 경우 우리나라, 중국으로부터 마른김을 수입한 후 스낵김으로 가공하여 전세계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 태국 : 스낵김 생산 및 수출
- 호주 : 맥주, 아이스크림, 치약 등 제품 원료 활용
- 미국 : 스낵, 조미료 등 생산
▶ 해조류 수출 활성화 방향
해조류에 대한 세계인의 인식이 증가하였지만 아직까지 해조류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많이 있어 해조류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해조류는 우리나라가 생산 및 가공 부문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만큼, 신규 시장 개척과 함께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는 혁신 상품 개발을 통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수산물수출정보포털 정기간행물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발간물 바로가기]
▶️ http://kfishinfo.co.kr/kor/
#수산물수출정보포털 #해외시장분석센터 #해조류_교역_양식_스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