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양 > 해역환경관리센터]2019-08-28 11:23:04/ 조회수 1430
- 홍합의 수질 정화 능력에 따른 멸종위기 우려
- 미국 국립환경과학원 멸종위기자원국 전문가에 따르면, 홍합이 지난 100년 동안 중공업에서 배출된 중금속을 흡수함에 따라 홍합, 조개 등이 번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는 홍합이 수질 정화를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위스콘신(Wisconsin)에서는 50종의 토종 홍합들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 중 24종의 홍합은 멸종 위기, 또는 특별한 관심 대상으로 관리되고 있다.
https://www.wpr.org/first-statewide-native-mussel-survey-40-years-shows-mixed-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