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해양 > 해양정책연구실]2017-06-19 19:57:55/ 조회수 1405
    • 유엔환경계획, 바다모래 채취 전세계 이슈화 추진-연간 470조~590조톤 채취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유엔환경계획, 바다모래 채취 전세계 이슈화 추진-연간 470조~590조톤 채취
      건설수요 증가로 채취량 20년 동안 3배 증가
      https://na.unep.net/geas/getUNEPPageWithArticleIDScript.php?article_id=110

      모래, 자갈 등 골재채취는 전세계적으로 확산추세에 있는데 이는 유리산업 수요의 증가도 원인이지만 건설수요의 급격한 확대가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바다모래의 채취는 연안지역의 침식에 직접 영향을 주고, 이는 기후변화나 자연재해의 자연방호 시스템을 약화시키기도 한다. 강모래의 부족으로 연안모래 채취가 증가하고 있고, 댐건설 증가로 육상에서 모래 공급이 줄어드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은 모래에 대해 생태계관리, 환경거버넌스, 자원의 효율적 이용의 측면에서 제대로 된 국제적인 규범이 없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모래채취로 인한 부작용에 대해 과학적인 연구와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해양생태계에는 저서생태계 훼손, 수산자원의 산란서식지 훼손, 소음에 의한 생물영향 등이 현안으로 지적된다. 연안지역의 침식도 심각한데, 몬터레이 만의 경우 해안침식이 연간 0.5~1.5m속도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한편 바다모래는 채취비용 이외에 추가적인 생산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다는 점도 모래 채취를 부추기는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다.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