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수산 > 해외시장분석센터]2025-03-13 14:40:12/ 조회수 659
    • 미국 관세로 중국 수산물 수출업계 어려움… 대체 시장 모색 중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미국이 중국산 수산물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 수산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튀김 새우와 틸라피아 산업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미국 수입업체들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대체 공급국을 모색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년 중국산 수산물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이후 중국의 튀김 새우 제품 생산량이 절반 이하로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번에 검토되고 있는 추가 관세까지 더해지면 중국 수산업체들의 가격 경쟁력은 더욱 약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미국 수입업체들은 틸라피아 대신 판가시우스를 대체 수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중국 수산업체들 역시 다양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일부 업체는 관세 부담을 일정 부분 나눠지겠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일부는 가격 협상을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수출업체들의 부담은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한편, 2024년 중국의 수산물 수출액은 195억 달러(약 26조 원)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으며, 수출량은 12.4% 증가해 4백만 톤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악화로 향후 성장세 둔화가 우려됩니다. 또한, 중국이 미국산 수산물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제품 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추가 관세로 중국산 수산물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 되면서 미국 수입업체들이 동남아 국가로 공급망을 다변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국의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아 단기적으로 시장 불안정성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중국 수산업계는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미국 이외의 시장 개척에도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seafoodsource.com/news/supply-trade/us-tariffs-leave-chinese-seafood-exporters-scrambling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