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수산 > FTA이행지원센터]2025-06-30 14:45:40/ 조회수 5
    • 세계 새우 생산량 성장 전망속 국가별 상황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 2025년 전 세계 새우 생산량이 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그 이면에 질병, 환경 규제, 무역 장벽 등 복잡한 문제들이 놓여있다고 진단함

      - (중국) 양식과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생산량과 소비가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거대한 시장 잠재력이 남아있으나 높은 생산 비용, 낮은 판매 가격, 엄격해지는 환경 규제로 인한 생산자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질병 문제에서 점차 회복하며 생산이 안정화 되고, 관세 문제가 있는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유럽, 일본, 중국 등으로 시장을 다각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

      - (인도) 연중 계속되는 질병 문제와 기후 변화 압박, 생태학적 한계에 도달했다는 인식이 가장 큰 어려움이나,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내수 시장이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됨

      - (베트남) 미국의 불확실한 관세 정책이 가장 큰 리스크로, 많은 양식업자들이 투자를 꺼리는 '관망세'에 접어들었고 비용과 질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저밀도 양식 모델로 전환하는 추세임

      - (에콰도르) 세계 1위 수출국 지위를 유지하며 가장 높은 성장세가 예상, 유전학, AI 등 기술에 집중 투자해 생산성을 높이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 빠른 운송 시간과 관세 인하 가능성 덕분에 매력적인 공급처로 부상하고 있음

      - 전반적으로 새우 산업의 성장은 계속될 전망이지만, 업계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은 질병(59%)과 시장 가격(24%)으로, 이는 무역 관세(4%)보다 훨씬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

      - 전문가들은 이제는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 대응하는 통제가 아닌 회복력이 산업의 핵심 과제가 되었다고 분석하였음

      기사출처: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