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수산 > FTA이행지원센터]2017-04-26 19:13:04/ 조회수 2345
-
『수산물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변모하는 중국』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수산물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변모하는 중국』
.
.
◾ 네덜란드계 은행 ABN AMRO는 중국의 국내 수산물 공급이 감소하고, 수산물 교역에서 수입이 크게 증가하여 향후 수산물 무역수지가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함. 중국은 현재 최대 수산물 수출국이지만 연간 8% 이상의 수입량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커져가는 고소득층 소비자들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수입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이는 경제발전, 수산물 수요 및 생산비용 증가에 기인된 현상이며, 베트남 메기(basa fish), 캐나다 바닷가재, 냉수성 새우는 이미 대량으로 수입되고 있음
◾ 수산자원 관리를 위한 엄격한 정부 정책 시행으로 2020년 중국 어획량이 1천만 톤 수준으로 감소하고 더욱 뚜렷한 수입 증대 추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됨
- 과잉어획을 방지하기 위해 2만 척의 어선감척, 모든 어법 및 어선에 대한 금어기간의 연장 등 추진을 통한 수산자원 관리를 모색 중임
.
출처: SEAFOODNEWS.COM
정리: 권오민 연구원
.
※문의사항은
☞홈페이지(http://fta.kmi.re.kr/) Q&A 혹은
☞콜센터 1644-4116으로 연락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