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수산 > 해외시장분석센터]2017-12-28 14:13:02/ 조회수 1129
-
["2017년 UN 대북제재가 우리나라 오징어 수출 경쟁력에 미칠 영향"]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2017년 UN 대북제재가 우리나라 오징어 수출 경쟁력에 미칠 영향]
오징어 교역 시리즈 ②
■ UN 대북 경제제재 이후, 여전히 상당량의 북한산 오징어가 중국으로 수입(밀수)되고 있습니다.
북한에 있어 수산업은 비중이 높은 산업 중 하나로 특히 연근해산 오징어를 중심으로 수산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오징어는 외화벌이용으로 중국으로 수출되거나 북한 내 상류층의 소비 품목으로 활용됩니다.
UN 안전보장 이사회는 2017년 8월 5일 북한의 수출을 3분의 1이상 감축시키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습니다. 이 때 제재 결의안에는 석탄, 철광석, 납, 수산물(오징어 등)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북한 산업에 있어 오징어의 중요성이 반영된 것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주변국들의 이행에 있습니다. 중국의 경우 직접적으로 북한산 오징어를 수입하고 있지 않지만, 밀수를 통해 상당한 양의 오징어를 수입하고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오징어가 부족한 탓에 과거 1kg에 30위안 하던 오징어 값이 현재 40위안까지 올라 북한으로부터 밀수를 하고 있으며, 이에 북한 어선은 일본으로까지 진출해 오징어를 어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IKKEI에 따르면 “북한 어선으로 추정되는 배가 금년에만 100회 정도 출현해 역대 최고가 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북한의 움직임은 중국으로부터 늘어나야 할 오징어 수입 수요가 더 늘어나지 않게 하고, 마구자비식 불법조업은 연근해산 오징어 자원감소로 이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https://www.japantimes.co.jp/news/2017/12/25/asia-pacific/social-issues-asia-pacific/smugglers-worked-north-korea-china-border-seeing-tough-times-kim-sanctions/#.WkMjwJJG3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