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수산 > 해외시장분석센터]2018-12-11 09:12:58/ 조회수 1746
    • 수산 부산물의 재발견, ‘환경’, ‘건강’, ‘성분’이 주요 키워드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수산 부산물 시리즈 ④

      수산 부산물을 활용한 새로운 가치창출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세계적으로 자원 감소가 심화되면서 국가별로 폐기되는 자원을 최소화하고 이를 활용한 새로운 가치창출이 주요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즉, 수산 부산물의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수산 부산물은 사료 등으로 활용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폐기물 처리되고 있는 실정으로 산업화가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는 수산 부산물을 활용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 개발 및 산학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소비는 작은 차이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이번 노르웨이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수행한 설문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같은 사실이라도 해당 제품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는 소비자들의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제12위 수산물 생산국입다. 그만큼 활용 가능한 부산물이 많은 상황입니다. 자원에 대한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산 부산물에 대한 관심과 함께 주요 키워드(‘환경’, ‘건강’, ‘성분’)를 활용한 새로운 가치창출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http://www.fish20.org/images/resources/Fish2.0-WASTE-Investor-Insights.pdf
      https://www.newfoodmagazine.com/article/26359/seafood-processing-by-products/
      https://thefishsite.com/articles/maximising-the-value-of-seafood-by-products
      https://vietnamnews.vn/economy/480234/use-of-fish-byproducts-could-lead-to-higher-profits-experts.html#iqoGCqzbsCgIb8Cw.97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