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해양 > 중국연구센터]2017-11-21 14:41:03/ 조회수 1734
    • 중-미 수산물 무역 ‘윈·윈’ 발전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중-미 수산물 무역 ‘윈·윈’ 발전

      ■ 중-미 수산물 무역 현황
      중국 수산유통 및 가공협회는 미국 주중국대사관 농업무역처(处), 미국 국가해양·대기총서 어업국과 연합하여 칭다오에서 ‘중-미 수산물 무역 및 인증 세미나’를 개최했다. 동 세미나에서 취허(崔和) 중국 수산유통 및 가공협회 회장이 중-미 수산물 무역 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현재 중국과 미국은 서로 수산물 수출입 주요 파트너이다. 5년 전 중-미 수산물 무역은 주로 중국의 수산물을 미국으로 수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지만, 현재에는 많은 미국 수산물이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작은 오징어이다. 관련 수치에 따르면, 2016년 중국 수산물의 대 미국 수출량은 54만 4,900톤, 수출액은 30억 4,200만 달러였다. 미국 수산물의 대 중국 수출량은 49만 1,800톤이었고 수출액은 12억 4,100만 달러였으며, 주로 가자미, 연어, 대구, 갑오징어와 오징어가 포함된다. 미국 주중국대사관 농업무역처 관계자에 따르면 중-미 양자 간 해산물 무역은 양국의 어민, 가공업자, 교역업체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미국에서 해산물 수입에 대한 감독 실시
      미국 국가해양·대기총서 어업국 관계자가 미국의 해산물 수입에 대한 감독관리 상황을 설명했다. 2016년 12월 9일, 미국 국가해양·대기총서 어업국에서는 해산물 수입 감시 프로젝트(SLMP) 실시 관련 최종 규칙을 발표했다. 이 규칙은 일부 해산물 수입에 대해 생산허가, 모니터링 결과 보고 및 기록·관리를 실시하여 역방향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어획 및 생산의 합법성을 확보할 수 있다. 2018년 1월 1일부터 우선 전복, 대서양 대구, 칼리넥테스 사피두스(Callinectes sapidus), 마히마히(Mahi-mahi), 우럭, 킹크랩(빨간색), 대구, 돔, 해삼, 상어, 새우, 황새치, 참치 등 13개 품종의 수입에 대해 감독을 실시할 계획이다. 동 세미나에서는 기업인들이 미국 관련 공무원들과 해산물 감독 문제에 대해 많은 교류를 나누었다.

      (출처 : 中国水产网 , 2017. 11. 9.)
      http://www.zgsc123.com/show-109-188378-1.html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