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수산 > FTA이행지원센터]2019-07-31 23:31:08/ 조회수 1999
-
올해 상반기, 중국 수산물 직수입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70억 달러 기록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 올해 상반기, 중국 수산물 직수입이 수요 증가, 베트남 국경 밀수입 단속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70억 달러를 기록함
- 작년 하반기부터 중국 남부의 베트남 국경 지역에서 만행된 새우 등 수산물 밀수를 엄격히 단속하였는데, 이에 따라 특히 인도·에콰도르산 새우 수입이 크게 늘었음
- 밀수 단속이 가공용 원료 수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
◾ 이러한 수입 증가는 갑각류가 견인하였으며, 총 28억 달러로 전체의 41%를 차지함
- 새우(냉수성 제외)가 전년 동기 대비 223% 증가한 15억 달러가 수입되었음
- 이 외, 캐나다산 랍스터, 뉴질랜드·호주산 닭새우, 캐나다산 랍스터, 러시아 킹크랩 등의 수입이 크게 증가함
- 활·신선냉장 닭새우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5억 2천만 달러, 캐나다·미국산 랍스터가 9% 증가한 2억 4천만 달러가 수입되었음.
- 어류는 판가시우스 냉동피레트가 27% 증가한 1억 4천만 달러, 냉동 넙치가 44% 증가함. 신선냉장 연어 수입은 5% 증가한 3억 6천만 달러임. 증가세가 두드러지지 않는 이유는 이미 수입이 많이 들어왔기 때문임. 또한, 고등어가 46% 증가한 1억 달러임. 이중 가공용 원료도 포함되지만, 노르웨이에서는 중국을 부상하는 소비 시장으로 보고 있음
출처:
https://www.undercurrentnews.com/2019/07/29/chinas-h1-seafood-imports-surge-to-7b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