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수산 > 어업자원연구실]2017-06-15 15:38:27/ 조회수 1165
-
기후변화에 따른 지리적 수산업 변화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기후변화에 따른 지리적 수산업 변화
기후변화는 고위도 지역에서 평균 30-70 %의 증가와 열대 지방에서 40 %까지의 감소할 것이라는 예측과 함께, 전 세계 어획 잠재력에 대한 대규모 재분배가 초래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Stefania Vannuccini는 스페인 Baiona에서 개최된 AECOC수산식품회의에서 이와 같은 전망을 발표했다.
즉, 어류 생산량의 예상되는 변화는 고위도 지역에서의 생산성 증대와 중/저위도 지역에서의 생산성 감소를 의미하며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다소 예외가 있을 수는 있지만, 2050년까지 수산물 생산 잠재력의 증가와 감소는 현재 생산량에서 10% 미만으로 추정된다고 Vannuccini는 말했다.
또한, Vannuccini는 다랑어와 같은 큰 원양 어종의 분포에 변화가 있을 것이며, 바다의 산성화로 인하여 잠재적 질병 증가 및 양식 가능지역 변화 등 양식분야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지적하였다.
기후변화 결과로 열대지역 어류의 바이오매스는 감소 할 것으로 예상되며, 열대 종은 새로운 어업의 잠재성을 창출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지역 토착어종은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지중해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FAO).
용승지역의 변화는 아직 불확실하며, 온대 지역과 고위도 지역에서의 어류 바이오매스는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성화로 인한 영향은 한 예로, 북동부 태평양 어패류 양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동남아시아와 같은 범람지역에서는 양식 기회가 증가 할 수도 있다.
온실 가스 및 지구 온난화의 축적은 해류, 엘니뇨 진동, 해수면 상승, 강우, 강 흐름, 산성화, 폭풍 심각성, 호수 수위, 폭풍 빈도 및 열 구조의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수산물의 이용 가능성과 접근성에 영향을 주어 어촌 공동체에 도전을 일으킬 것이다.
https://www.undercurrentnews.com/2017/06/12/climate-change-to-affect-marine-ecosystems-in-tropical-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