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수산 > FTA이행지원센터]2017-03-03 11:09:15/ 조회수 2408
    • 『저장성 저우산시 수산가공업 생산액 200억 위안 돌파』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저장성 저우산시 수산가공업 생산액 200억 위안 돌파』

      .

      .

      ■ 저우산시 규모 이상의 수산가공업 생산액 증가, 경영 전략 조정, 혁신을 통한 수산가공 기업의 시장 경쟁력 강화
      - 해산물 제품 가공 원재료의 감소로 인한 가격 상승은 저우산시 수산가공업 생산액을 증가시켰다. 또한, 수산기업들이 경영전략을 조정하고 혁신 및 업그레이드를 통해 제품의 시장경쟁력이 크게 강화되었다.
      - 원양어업의 경우, 현재 저우산시 원양 오징어 어선이 265척에 이르며, 2016년 오징어 생산량은 29만 5,000톤으로 중국 총량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오징어 총생산량이 동기대비 감소하였기 때문에 가격은 대폭 증가했다. 아르헨티나산 400g 이상의 오징어 가격은 2015년 톤당 7,000위안에서 2016년 11월에는 톤당 22,000위안으로 상승했다. 이로 인해 북태평양산 오징어와 페루산 오징어의 가격도 100~200% 정도 증가했다. 원재료 가격의 인상에 따라 수출 제품 가격이 동기대비 증가하는 바람에 오징어 제품의 가공 및 수출 발전을 촉진시켰다.

      ■ 경영 전략 조정, 내수시장에 주목
      - 작년 저우산시에서 많은 수산기업들이 경영전략을 조정하는 것도 저우산시 수산가공업 생산액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국내 시장 수요가 계속 확대되면서, 많은 수산가공기업들이 대외무역 중심에서 내수시장으로 이전하였고 국내 판매를 중심으로 유통구조가 변하고 있다.
      - 과거 저우산시의 국내 판매시장은 주로 중국 중·동부 지역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서부 지역의 칭하이(青海), 신장(新疆) 및 쓰촨(四川) 등 지역들의 수산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저우산시 수산가공기업들이 가장 주목하는 시장 중의 하나가 되었다.

      ■ 선도 기업 가공기술 혁신
      - 작년 ‘싱예(兴业)’, ‘하이리성(海力生)’, ‘저우위(舟渔)’ 등 수산가공업의 선두 기업들의 생산액이 안정적으로 증가하였고, 기술 혁신 등 측면에서도 모범이 되었다. 하이리성그룹과 싱예의 기존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가 촉진되어 각각 작년 계획의 124%와 100%를 달성했다.
      - 저우강(舟港) 수산물 가공라인, 성쓰진다(嵊泗金达) 수산자동화 활새우 종합생산라인, 펑위(丰宇) 해양생물제품 및 헝저우(恒舟)해양생물 과학기술의 생선단백질 정밀가공 개선 프로젝트, 저장라오저우산 해양생물 과학기술유한회사의 생선두부 정밀 가공기술 개선 프로젝트 등 일련의 기술 혁신 프로젝트들은 저우산시 수산물 정밀가공 능력을 크게 강화시켰다.

      ■ 우량한 수산물 가공기업 유치
      - 저우산시는 현지 기업 육성뿐만 아니라, 우량한 수산물 가공기업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현재 1억 3,500만 위안의 투자를 받은 다양싱허(大洋兴和)정밀가공 프로젝트의 건설 공사가 이미 시작되었으며, 저장 다양쓰자(大洋世家)주식유한회사가 저우산시에서 등록했다.
      - 저장 다양쓰자주식유한회사는 유명한 완샹(万向)그룹이 투자한 농업 산업화의 국가 중점 선두기업으로 원양 어업, 수산물 가공 및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동 기업은 저우산시 참치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저우산시 수산가공업의 새로운 발전 동력이 될 전망이다.

      .

      .

      출처: http://www.fishery.org.cn/fishery/article.jsp?id=1485688950490
      정리: 기해경 연구원

      .

      ※문의사항은

      ☞홈페이지(http://fta.kmi.re.kr/) Q&A 혹은

      ☞콜센터 1644-4116으로 연락 바랍니다 ◀:-)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