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수산 > FTA이행지원센터]2018-04-30 14:16:42/ 조회수 1775
-
2018년 1월 중국 수산물 수출입 현황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월 수산물 수입액보다 수출액이 많지만, 수입액 증가율이 더 높아
2018년 1월 중의 수산물 수입량은 35만 500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42.58% 증가했고, 수출량은 43만 6,300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0.34% 감소했다. 수출입 양에서는 수산물의 수출량이 수입량보다 8만 5,800톤 많다. 수산물 수입액은 10억 4,5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8.71% 증가했고 수출액은 21억 9,7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8.86% 증가했다. 금액 측면에서 수산물은 11억 5,200만 달러의 무역흑자를 보였다.
러시아, 1월 중국의 최대 수산물 수입국
2018년 1월, 중국의 수산물 수입국은 총 83개 국가(지역)이다. 수입액 기준으로 러시아가 1위였고, 그 다음으로 미국, 노르웨이, 캐나다, 칠레, 인도네시아, 호주, 베트남, 태국, 뉴질랜드 등의 순이었다. 이 10개 국가에서 수입한 수산물 수입총량은 24만 8,400톤으로 중국 전체 수산물 수입총량의 71%를 차지했고, 수입액은 7억 3,900만 달러로 전체 수산물 수입총액의 70.75%였다. 주요 수입국 가운데 대 노르웨이 수산물 수입액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중국의 대 노르웨이 수산물 수입량은 전년 동기대비 92.54%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전년 동기대비 151.45% 증가했다.
일본, 1월 중국의 최대 수산물 수출국
2018년 1월 중국의 수산물 수출국은 총 152개 국가(지역)이다. 수출액 순위는 일본, 미국, 한국, 대만, 홍콩,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멕시코, 캐나다의 순이었다. 이 10개 국가(지역)로 수출한 수산물 총량은 27만 톤으로 중국의 전체 수산물 수출총량의 62%였고, 수출액은 16억 4,400만 달러로 전체 수산물 수출총액의 74.85%를 차지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주요 수출국에 대한 수출 현황에 변화가 크다는 사실이다. 대 미국, 필리핀, 캐나다 수출액은 전년에 비해 감소했으며, 평균 감소율은 9.2%였다. 대 일본, 한국, 대만, 홍콩, 태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수출액은 전년에 비해 모두 증가했고 평균증가율은 29.69%로 나타났다.
(출처 : 中国农业大学国家农业市场研究中心, 2018. 3. 4.)
http://www.fishfirst.cn/article-99350-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