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수산 > 해외시장분석센터]2019-03-04 16:12:16/ 조회수 1786
    • 중국 수산물 수입 다양화를 위해 신규 공급라인 마련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중국의 수산물 무역은 수출 중심의 구조이지만, 최근 수입이 증가하면서 무역 수지 흑자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2017년 기준 중국 수산물 수입은 489만 톤, 113억 달러로 전년 대비 물량과 금액이 각각 21.%, 21.3% 증가하였으며, 수출도 444만 톤, 211억 달러로 물량과 금액이 전년 대비 각각 2.40%, 2.0% 증가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수입 증가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미 무역분쟁 등으로 수산물 공급 다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중국은 수산물 공급 라인을 늘리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중국 내륙지역의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인 란저우(Lanzhou)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수산물 교역을 늘리기 위해 최근 신규 항공 라인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수산물 소비 활성화와 함께 수산물 가격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주해(Zhuhai)에서는 수산물의 저온유통 채널 확대를 위해 10개 회사에 각각 10만 위안(USD 15,000, EUR 13,200)의 보조금을 지원하였습니다. 실제 중국 상무부가 전국 36개 시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11~12월 수산물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은 대표적 수산물 수출국이지만 동시에 주요 수입국으로 부상하였습니다. 중국 정부도 수산물 소비를 권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중국은 우리나라 수산물 수출에 있어 놓칠 수 없는 국가로 시장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https://www.seafoodsource.com/news/supply-trade/china-opening-up-new-seafood-supply-lines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