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일앱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Window 설정 > 앱 > 기본앱 > 메일에서 메일앱으로 변경
- [수산 > 해외시장분석센터]2021-03-31 09:50:49/ 조회수 8890
-
<중국의 미역산업 파헤치기>
- 평가덧글
- 인쇄보내기
- ◑ 중국의 미역, 랴오닝 성을 중심으로 생산
중국은 전 세계 최대 미역 생산국으로, 2014년 전 세계 미역의 86.3%(203만 톤)을 생산했습니다. 그 다음 주요 생산국은 한국 (12.2%), 일본(1.9%) 입니다. (FAO 생산 통계 기준)
2019년 중국 미역 생산량은 202,393톤으로 랴오닝성이 압도적인 비중(152,953톤)을 차지, 산동성(48,590톤), 광동성(850톤)도 주요 생산지입니다. *FAO 생산 통계와 중국 어업통계연감은 수율로 인한 차이가 있음.
◑ 중국 소비자의 해조류 인지도는?
미역은 다시마, 김, 스피루리나에 이어 4번째로 인지도가 높은 해조류입니다.
◑ 연안지역에서 비교적 높은 인지도를 보이는 미역
미역은 다른 해조류에 비해 지역별 인지도 차이가 가장 큰 품목으로 연안지역 인지도는 32.1%, 내륙지역은 21.8%로 나타났습니다.
◑ 미역 원물에 대한 소비 비중이 높아
가공형태별 소비 형태 조사결과 미역 원물의 소비 비중은 43.9%로 가공품(35.7%)에 비해 높으며 이 같은 결과는 다시마와 김에도 나타났습니다.
◑ 소포장 간식으로 출시된 미역 고차 가공품 인기
최근 김 외에 다시마, 미역 등의 해조류를 활용한 고차 가공품이 활발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즉석 미역, 미역 샐러드, 간편 미역국 등의 깔끔한 소포장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중국으로 미역 수출 시 중국 미역 소비 특징 및 트렌드에 대한 관심 요구
우리나라 미역 수출은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2020년 3,700만 달러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미역 시장 진출 시 중국 미역산업의 전반적인 동향과 소비자의 소비 특성, 제품 개발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발간물 바로가기]
▶️ https://kfishinfo.co.kr/kor/
#해외시장분석센터 #수산물수출정보포털 #미역 #수산물 #미역산업 #중국 #중국미역 #랴오닝성 #해조류 #미역원물 #미역가공품 #미역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