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수산 > FTA이행지원센터]2025-03-28 14:50:58/ 조회수 353
    • 중국,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2030년 수산물 무역적자 전환 전망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 Rabobank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의 급속한 인구 구조 변화로 수산물 수요와 생산간 격차가 벌어지며 글로벌 교역 구조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였음
      - 중국의 출산율은 1.01로 낮아졌는데, 중간연령은 지난 25년간 29세에서 40세로 높아지고 60세 이상 고령인구도 약 1억 8천명이 증가한 3억 1천만명이 되어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 거주자가 지난 25년간 약 5억 명이 증가하며 도시화도 가속화되고 있음
      - 이러한 고령화 및 도시화, 소득수준 향상, 건강식품 수요 증가 등에 따라 수산물 소비가 확대되어 수산물 소비는 연간 약 4.5%씩 증가하였음
      - 반면 공급의 경우, 양식업은 연간 3.3% 수준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어로어업은 정부 지원을 줄이고 과잉어업을 규제하고 있어 성장에 제약이 있어 향후 몇 년 내로 성장이 1% 수준으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음
      - 이에 따라, 중국의 수산물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100억 달러의 수산물 무역적자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하였음

      자료: https://www.undercurrentnews.com/2025/03/11/rabobank-chinas-demographic-timebomb-to-reshape-global-seafood-trade/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