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수산 > 해외시장분석센터]2018-01-30 16:47:07/ 조회수 1548
    • “중국의 밀수입 단속 강화에 따른 수산물 교역시장 변화”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중국의 밀수입 단속 강화에 따른 수산물 교역시장 변화”

      중국 밀수입 시리즈②

      중국이 밀수입 단속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밀수입 경로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베트남과 중국업체는 수출 물품이 준비가 되면, 물류 회사가 현재 밀수가 가능한 경로를 알려주고, 20개의 밀수 경로를 통해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베트남 업계 관계자는, 이러한 경로가 향후 특정 요인으로 합법적인 교역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며, 물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시장으로 밀수입되는 수산물의 정도는 교역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중국의 수산물 시장은 그간 크게 발전해왔으며, 그 결과 서구의 일부 국가들보다 더 시장화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법률적인 기준에 있어서는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으며, 2016년 기준 중국의 밀수는 2,633건(1.6백만 t)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국이 밀수하는 수산물 양은 우리나라 생산량의 절반에 가까울 정도로 많습니다. 이러한 밀수는 수산물 교역 시장에 있어 왜곡된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밀수 가능성은 이번 대북제재(2371호, 2397호)의 실효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우리 입장에서는 제2의 수출시장 대상국인 중국의 암묵적인 거래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오징어 등의 우리 주요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적절한 수급 조절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https://www.undercurrentnews.com/2017/12/29/china-issues-smuggling-crackdown-as-large-pangasius-importer-implicated/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