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해양 > 연구기획협력실]2019-02-11 17:39:29/ 조회수 1331
    • KMI 동향분석 제102호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KMI 동향분석 제102호 「우리나라 정기선 해운업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기술개발 투자 늘려야」를 소개합니다.

      해운업계도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비켜가지 못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과거 해운업의 성공 요소가 선박과 화주, 화물 확보였다면 신기술을 통한 효율성 증대,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인력 운영 등도 중요한 요소로 대두하고 있습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2018년 2월 발간한 The Digital Imperative in Container Shipping에서 e-플랫폼, 진화된 분석기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선박자동화 및 로봇공학, 블록체인, 사이버 보안이 정기선사에 변화를 줄 것이라고 예측하고, 특히 진화된 분석기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선박자동화 및 로봇공학, 블록체인 등은 선사 운영에 있어 파괴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세계 최대 선사인 머스크, 중국의 COSCO, 일본의 NYK, 프랑스의 CMA CGM, 독일의 Hapag-Lloyd는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정기선사 등이 참여하는 해운물류 블록체인 컨소시엄이 2017년 5월 31일 발족했고, 이 사업 참여자인 IT기업 삼성 SDS는 관세청이 주관하는 세계최초 블록체인 기반 '수출통관 물류서비스'를 자사 블록체인 플랫폼(넥스레저, NexledgerTM)으로 구축할 계획 등 대응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같은 변화는 향후 해운물류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려는 해운업계의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국내외 글로벌 정기선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기선사의 대응 노력이 충분치는 않아 보입니다. 우선, 해외 글로벌 정기선사에 비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체감도가 낮게 나왔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정기선사의 경우 조직 및 기술투자에 집중적인 필요성을 느끼는 단계에 머물고 있는 반면, 해외 정기선사는 이미 비즈니스 모델 개발 단계에 진입하고 있어 보다 적극적인 대응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사례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정기선사의 경우 현재까지 일부 대형 선사를 제외하고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노력이 보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해운물류 분야에 있어 4차 산업혁명 대응은 주로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 해외 정기선사와 다른 점입니다. 해외의 경우 비즈니스의 변화를 목적으로 민간 부분의 참여가 적극적인 것과 매우 대조적입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부와 기업의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정부는 인프라 구축, 제도 개선 및 R&D 지원에 집중해야 합니다. 둘째, 정기선사들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기술개발 투자를 늘려 나가야 합니다. 셋째, ‘해운물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부문의 펀드를 조성하여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하여야 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kmi.re.kr/web/trebook/view.do?rbsIdx=273&page=2&idx=119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