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2017-08-16 04:36:53/ 조회수 1285
    • Cross-border MSP의 4가지 모범사례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Cross-border MSP의 4가지 모범사례

      지난 10년간 다양한 규모(지역, 국가, 초국가 등)로 해양공간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고 있다. 이것은 해상풍력과 같은 해양신산업의 출현, 환경 훼손, 부문간 조정 및 협력의 필요성에 따라 나타났다. 유럽은 해양공간계획 지침(the Maritime Spatial Planning Directive)에 따라 각 회원국에게 해양공간계획 채택과 이행을 권고하고 있다. 이 지침은 해양자원의 보다 효율적인 이용과 개발뿐만 아니라 국가 간 협력을 강화시켜 국제 해양거버넌스를 개선하고자 한다.

      유럽집행위원회는 국가 간 협력의 4가지 모범사례를 발표했다.
      - 미국 로드아일랜드 사례(Rhode Island Ocean special area management plan0
      - 남극해양생물자원보전위원회 사례(The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CCAMLR) in the Southern Ocean)
      - 산호초 삼각지대 사례(Coral Triangle Initiative on Coral Reefs, Fisheries and Food Security (CTI-CFF))
      - 중국 사례(Marine functional zoning in Xiamen, China)

      https://ec.europa.eu/easme/en/news/study-what-are-best-practices-cross-border-maritime-spatial-planning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