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FTA이행지원센터, 『중국수산동향』 제16호 발간
담당부서 FTA이행지원센터 보도일 2018-08-31
파일

KMI FTA이행지원센터, 『중국수산동향』 제16호 발간


 - 중국, 2025년까지 대규모 연안어항건설계획 추진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양창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계간 『중국수산동향』 제16호를 발간하였다


□ 「이슈분석」에서는 ‘중국연해어항건설계획(2018-2025년)’을 소개하였다.
  - 지난 4월 19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농업농촌부는 전국연안어항건설계획(2018-2025년)을 발표 
  -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10대 연안 어항군을 육성하고 93개 어항경제구를 건설하여 산업, 인력, 자원 등이 집적된 성장플랫폼을 구축할 계획
  - 이를 통해 경제·사회·생태 측면의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며 생태환경보호와 함께 제도적 지원을 통한 효과적인 건설 추진


□ 「포커스 1」에서는 ‘미-중 무역 전쟁이 수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였다.
  - 최근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였고, 중국이 이에 맞대응함에 따라 양국 무역 갈등 심화
  - 해당 고율 관세 부과 목록에 수산물이 포함되어 미국 바닷가재 업계와 중국 틸라피아 업계의 수출 타격과 양국 가공무역 위축이 전망되는 등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피해 예상
 
□ 「포커스 2」에서는 2018년 4월 개최된 ‘2018년 중국농업전망대회’의 보고서인 ‘중국농업전망보고(2018~2027년)’를 소개하였다.
  - 중국의 2017년 수산물 생산량은 어로어업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되었으나, 내수 소비 확대로 수산물 수입 사상 최대 기록
  - 소득수준 향상, 가공기술의 발달 등으로 수산물 소비가 증가할 전망이고, 이에 따라 수출은 감소, 수입은 크게 증가할 전망


□ 이 외에도 이번 호에서는 2018년 5~7월 중국 수산업에 대한 분야별 「간추린 뉴스」, 「중국 주요 수산물의 가격 동향」, 「우리나라의 對중국 수산물 수출입 동향」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 『중국수산동향』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홈페이지(http://fta.kmi.re.kr, ☏1644-411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끝>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취재를 원하시면 우리 원 FTA 이행지원센터 백준혁 연구원(☏051-797-4914)에게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FTA이행지원센터, 『중국수산동향』 제16호 발간
담당부서 FTA이행지원센터 보도일 2018-08-31
파일

KMI FTA이행지원센터, 『중국수산동향』 제16호 발간


 - 중국, 2025년까지 대규모 연안어항건설계획 추진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양창호) 자유무역협정(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계간 『중국수산동향』 제16호를 발간하였다


□ 「이슈분석」에서는 ‘중국연해어항건설계획(2018-2025년)’을 소개하였다.
  - 지난 4월 19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농업농촌부는 전국연안어항건설계획(2018-2025년)을 발표 
  -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10대 연안 어항군을 육성하고 93개 어항경제구를 건설하여 산업, 인력, 자원 등이 집적된 성장플랫폼을 구축할 계획
  - 이를 통해 경제·사회·생태 측면의 다양한 효과가 기대되며 생태환경보호와 함께 제도적 지원을 통한 효과적인 건설 추진


□ 「포커스 1」에서는 ‘미-중 무역 전쟁이 수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하였다.
  - 최근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였고, 중국이 이에 맞대응함에 따라 양국 무역 갈등 심화
  - 해당 고율 관세 부과 목록에 수산물이 포함되어 미국 바닷가재 업계와 중국 틸라피아 업계의 수출 타격과 양국 가공무역 위축이 전망되는 등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피해 예상
 
□ 「포커스 2」에서는 2018년 4월 개최된 ‘2018년 중국농업전망대회’의 보고서인 ‘중국농업전망보고(2018~2027년)’를 소개하였다.
  - 중국의 2017년 수산물 생산량은 어로어업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되었으나, 내수 소비 확대로 수산물 수입 사상 최대 기록
  - 소득수준 향상, 가공기술의 발달 등으로 수산물 소비가 증가할 전망이고, 이에 따라 수출은 감소, 수입은 크게 증가할 전망


□ 이 외에도 이번 호에서는 2018년 5~7월 중국 수산업에 대한 분야별 「간추린 뉴스」, 「중국 주요 수산물의 가격 동향」, 「우리나라의 對중국 수산물 수출입 동향」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 『중국수산동향』은 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 홈페이지(http://fta.kmi.re.kr, ☏1644-411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끝>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취재를 원하시면 우리 원 FTA 이행지원센터 백준혁 연구원(☏051-797-4914)에게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다음글 읽기
이전글 2018년 8월 해운업BSI 조사결과
다음글 KMI 해외시장분석센터, 독일 수산물 소비실태 조사 결과보고서 발간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