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연구정보연구보고서일반연구

일반연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연구 상세보기
해양수산 분야 북극권 4차 산업기술 수요조사 및 분석 연구
구분 일반 2018-07 발간일 2018-12-31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김민수
파일

▸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해양에 접목됨으로써 해양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해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변혁적 요인(transformative force)’으로 주목받고 있음
- 세계경제포럼은 해양에 큰 변화를 일으킬 잠재력이 있는 4차 산업혁명 관련 해양기술로 자율운행선박, 스쿠버 드로이드, 수중증강현실안경, 해양혁명, 해저 클라우드 컴퓨팅, 파력·조력에너지, 해양온도차발전, 해저자원개발, 해양 빅데이터, 바다원료약제, 해안센서, 생체모방로봇 등 12개 기술에 주목

▸ 기후변화와 해빙가속화는 북극 환경과 생태계, 원주민 생활환경, 사회 인프라, 자원개발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원주민들의 생활환경 변화로 거주 인구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해빙 가속화로 인한 자원 접근성 강화와 인프라 개발 활성화로 경제개발 기회가 커지고 있음
- 투자회사인 구겐하임 파트너스(Guggenheim Partners)의 자료에 따르면 북극권 8개국의 북극개발을 위한 현재 및 향후 예상 투자액은 총 1조 달러로 추정
- 이러한 거주인구 감소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커지는 산업적 기회에 의한 북극 지역 내 인구 유입과 산업 활성화 전망은 경제 발전에 있어 무인화 및 자동화에 기반을 둔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요가 더 큰 지역이라는 북극의 특수성을 대변

▸ 북극이 가지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수성을 감안하면 최첨단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일반지역보다 높음
- 북극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분야는 북극항로, 그리고 북극항로와 연계된 항만 및 물류로 볼 수 있음
∙ 자율운항선박, 무인하역장비와 트럭, 인공지능을 통한 항만관리와 운영, 사물인터넷을 통한 화물과 배후단지 관리 등 무인화와 자동화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이 커지고 있음

▸ 국내 및 해외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북극에서의 4차 산업혁명 필요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현재 4차 산업혁명 기술은 낮은 것으로 인식
- 4차 산업혁명 기술 필요성 부분에서 국내 전문가는 100점 환산 점수 기준 81.93점, 북극권 국가 전문가는 72.78점으로 국내외 전문가 모두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필요하다고 판단
-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과학·기술 발전이 전체의 40.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이러한 결과는 과학·기술 발전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북극 지역 간 연결성을 확보하고 극한 조건에서의 정보 수집 및 분석에 필요한 전제조건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

▸ 해양수산 8개 분야에 대한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국내외 전문가 모두 ‘해양관측 및 예보’, ‘해양공학’, ‘해운 및 해사안전’ 분야에서 4차 산업 기술이 현재와 미래 모두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거나 보일 것으로 예측
- 반면 ‘항만 및 물류’, ‘해양생명공학’, ‘수산’은 국내 전문가와 해외 전문가 모두 현재의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준도 낮고, 미래에도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
- 이러한 설문 결과를 토대로 현재 및 미래의 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과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실제 우선순위와의 비교를 통해 북극권 내 국가의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북극권 해양수산 8개 분야별 30개 기술 가운데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 또는 융합이 필요한 분야 및 기술의 우선순위 조사 실시
- 국내외 전문가 모두 해양생명공학, 수산 분야는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준이 현재와 미래 모두 낮고,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필요성도 낮은 것으로 인식. 이러한 결과로 보아 향후 4차 산업혁명 기술 관련 R&D 투자나 국제협력에 있어 이 분야는 타 분야와 비교해 정책적 집중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 

일반연구 상세보기
해양수산 분야 북극권 4차 산업기술 수요조사 및 분석 연구
구분 일반 2018-07 발간일 2018-12-31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김민수
파일

▸ 최근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해양에 접목됨으로써 해양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해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변혁적 요인(transformative force)’으로 주목받고 있음
- 세계경제포럼은 해양에 큰 변화를 일으킬 잠재력이 있는 4차 산업혁명 관련 해양기술로 자율운행선박, 스쿠버 드로이드, 수중증강현실안경, 해양혁명, 해저 클라우드 컴퓨팅, 파력·조력에너지, 해양온도차발전, 해저자원개발, 해양 빅데이터, 바다원료약제, 해안센서, 생체모방로봇 등 12개 기술에 주목

▸ 기후변화와 해빙가속화는 북극 환경과 생태계, 원주민 생활환경, 사회 인프라, 자원개발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기후변화로 인한 북극 원주민들의 생활환경 변화로 거주 인구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해빙 가속화로 인한 자원 접근성 강화와 인프라 개발 활성화로 경제개발 기회가 커지고 있음
- 투자회사인 구겐하임 파트너스(Guggenheim Partners)의 자료에 따르면 북극권 8개국의 북극개발을 위한 현재 및 향후 예상 투자액은 총 1조 달러로 추정
- 이러한 거주인구 감소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커지는 산업적 기회에 의한 북극 지역 내 인구 유입과 산업 활성화 전망은 경제 발전에 있어 무인화 및 자동화에 기반을 둔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요가 더 큰 지역이라는 북극의 특수성을 대변

▸ 북극이 가지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수성을 감안하면 최첨단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일반지역보다 높음
- 북극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분야는 북극항로, 그리고 북극항로와 연계된 항만 및 물류로 볼 수 있음
∙ 자율운항선박, 무인하역장비와 트럭, 인공지능을 통한 항만관리와 운영, 사물인터넷을 통한 화물과 배후단지 관리 등 무인화와 자동화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이 커지고 있음

▸ 국내 및 해외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북극에서의 4차 산업혁명 필요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현재 4차 산업혁명 기술은 낮은 것으로 인식
- 4차 산업혁명 기술 필요성 부분에서 국내 전문가는 100점 환산 점수 기준 81.93점, 북극권 국가 전문가는 72.78점으로 국내외 전문가 모두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필요하다고 판단
-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과학·기술 발전이 전체의 40.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이러한 결과는 과학·기술 발전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북극 지역 간 연결성을 확보하고 극한 조건에서의 정보 수집 및 분석에 필요한 전제조건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

▸ 해양수산 8개 분야에 대한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국내외 전문가 모두 ‘해양관측 및 예보’, ‘해양공학’, ‘해운 및 해사안전’ 분야에서 4차 산업 기술이 현재와 미래 모두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거나 보일 것으로 예측
- 반면 ‘항만 및 물류’, ‘해양생명공학’, ‘수산’은 국내 전문가와 해외 전문가 모두 현재의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준도 낮고, 미래에도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
- 이러한 설문 결과를 토대로 현재 및 미래의 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과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실제 우선순위와의 비교를 통해 북극권 내 국가의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북극권 해양수산 8개 분야별 30개 기술 가운데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도입 또는 융합이 필요한 분야 및 기술의 우선순위 조사 실시
- 국내외 전문가 모두 해양생명공학, 수산 분야는 4차 산업혁명 기술 수준이 현재와 미래 모두 낮고,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필요성도 낮은 것으로 인식. 이러한 결과로 보아 향후 4차 산업혁명 기술 관련 R&D 투자나 국제협력에 있어 이 분야는 타 분야와 비교해 정책적 집중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 

이전글, 다음글 읽기
이전글 경상북도 논 생태양식 육성 방안
다음글 북한 동해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