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연구정보연구보고서수시연구

수시연구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 표시 필요, 사업적 이용 불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산업·어촌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상세보기
수산업·어촌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구분 수시 2018-06 발간일 2019-07-31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류정곤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의 양극화 해소, 고용창출, 사회안전망 강화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산업·어촌 분야에 사회적 경제 도입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음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 방법
 
<표> 본 연구 방법의 특징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는 수산업·어촌 분야 사회적 경제 개념의 정립 및 도입 가능성, 그리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음
- 문헌조사에 있어서는 타 분야의 사회적 경제 도입 및 활성화 정책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수집·분석하였고, 이를 수산업·어촌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하였음
- 현장조사에 있어서는 사회적 기업 및 협동조합 등을 포함한 국내 우수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방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수산업·어촌 분야 사회적 경제 도입 가능성과 도입 방향을 도출하는데 활용하였음
- 해외사례에 있어서는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등 사회적 경제가 활성화 된 주요 국가의 경우 관련 문헌을 통해 조사·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캐나다 퀘벡의 경우는 우리나라가 사회적 기업제도를 도입할 당시 대표적인 벤치마킹 사례로서 방문조사가 필요하였기에 실제 출장조사가 실시되었음.
- 또한 국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방문조사 및 워크숍을 통해 국내의 사회적 경제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뿐만 아니라 수산업․어촌 분야에서의 사회적 경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향성 설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데 동 워크숍이 활용되었음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사회적 경제’는 호혜성에 기초한 재분배 원리를 통해 국가와 시장이 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는 대안적 가치이자 공동체 전략으로 등장한 개념임
- 동 개념에 바탕을 둔 사회적 경제체제는 공익 즉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사익을 발생시키는 경제체제로서, 구성원간 협력·자조를 바탕으로 재화 및 서비스 생산·판매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을 의미함
▸ 전 세계적으로 빈부격차․고용불안․고령화 등의 구조적 문제에 직면하면서 사회적 가치 실현 및 사회적 경제의 중요성은 더욱 더 부각되고 있음
- EU 등 주요 국가들의 경우 저성장․저고용으로 경제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사회적 경제를 새로운 해결책으로 평가하고 있음
- 또한 이러한 사회적 경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회적 경제 관련 법률 제정 및 직․간접적인 지원제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경제기업의 활동을 보장하고 있음
▸ 법·제도 개선, 시범사업 실시, 사회적 인식 확산 등을 통해 우리나라는 사회적 경제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양적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으나, 수산분야에 정책적으로 추진된 실적은 기대 이상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매우 저조한 실정임
- 2018년 주요 사회적 경제조직은 총 18,606 업체가 운영 중이며, 이중 「협동조합 기본법」에 의한 협동조합이 가장 많은 13,596개 그리고 사회적 기업이 1,978개임
- 그러나 수산업․어촌 분야의 경우 사회적 기업은 15개로 전체의 0.7%에 불과하나 매출액, 이익 및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사회적 기업 평균 수준 이상의 효과를 보이고 있음
▸ 어촌의 사회적 자본 및 정부의 정책환경 변화 등을 고려할 경우 수산업·어촌의 사회적 경제 도입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사회·경제·문화적 공동체 및 풀뿌리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촌의 특수성과 함께 동 지역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회복과 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경제의 도입이 부각되고 있음 
- 또한 지역밀착형 생활 SOC 확충․정비, 사회적 수산업 활성화 정책 시범도입 등 정부의 정책환경 변화에 따라 수산업․어촌의 사회적 경제 도입은 그 가능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수산업·어촌 분야 사회적 경제 도입 시 다음의 사항은 도입에 대한 주된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지원제도의 부재: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지원근거의 부재 및 동 조직의 육성을 위한 지원기반의 취약성
- 인식 부족: 지역공동체의 역량 및 공익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그리고 지역공동체의 갈등 등
▸ 수산업·어촌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4개의 기본방향과 3대 주요 전략 등을 제시함
- 4개 기본방향으로 어촌사회 풀뿌리 공동체 육성과 기존 사회적 경제조직 유입 병행, 간접지원과 성장 생태계 기반 조성, 민간·지자체의 역할 강화, 부처 간 협업체계와 해양·수산분야의 차별성 확보를 제시함
- 해양·수산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 민관 협업체계 구축,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를 골자로 하는 3대 주요 전략과 함께, 이에 따른 7대 추진과제 및 15개 세부과제를 제시함
 
<표> 해양수산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 전략별 추진과제
 
2) 정책대안 제시 및 정책화 활동
▸ 수산업·어촌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의 개념, 도입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국가와 시장이 해결할 수 없는 주요 경제 문제에 대한 정책대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 '사회적 경제 활성화'라는 국정과제 부합 및 이를 위한 구체적 추진·세부과제를 제시함으로서 수산업·어촌분야 사회적 경제와 관련한 정책 수립 마련에 기여함
 
3) 정책적 기여 등 기대효과
▸ 어업중심의 경제체제를 사회적 경제로 전환하여 일자리 창출 및 어촌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
▸ 산업자본주의 발전 및 도시화로 인한 어촌의 노령화 및 양극화, 어촌공동화를 사회적 경제를 통해 해소하고 어촌의 삶의 질을 경제적 관점에서 개선할 수 있음

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while presenting measures to invigorate them.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resolving polarization in fishing communities, creating jobs, strengthening social safety net and invigorating local communities.
 
2. Methodology and Feature
1) Methodology
 
<Tabl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ology
 
2) Feature
▸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fisheries industr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m and measures to invigorate them.
- For literature review,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receding studies relevant to the introduction of social economy in other sectors as well as invigoration measures. This analysis was utilized to present measures to invigorate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 On-site investigation consists of visiting research to best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Korea including social enterprises and cooperativ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erved as a basis for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and its direction in fishing communities and fisheries industry.
- Foreign cases were used to investigate and study relevant literature of major countries in which social economy has invigorated such as the UK, Italy and Spain. However, the study carried out a business trip to Quebec, Canada since it was a benchmark case when Korea had adopted social enterprise system.
- Having carried out visiting research and workshops targeting domestic experts, the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ocial economy and social enterprises in Korea. Furthermore, workshops were utilized to collect opinions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and setting direction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3. Result
1) Summary
▸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emerged as an alternative value and communal strategy based on the principal of reciprocity and redistribution, while seeking to address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or market cannot solve
- The social economic system based on this concept is an economic framework in pursuit of public interest, in other words, social value, while generating private interest. In addition, it means economic activities generating social value through production and sale of goods and services based on cooperation and self-support among members.
▸ As the world is facing structural problems such as widening gap between rich and poor, job instability and aging, the importance of realizing social value as well as the social economy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 Having changed economic structures arising from low growth and low employment, major countries such as the EU is evaluating the social economy as a new solution.
- Furthermore, these countries strive to ensure various forms of economic activities by social economic enterprises to realize the social economy. Such measures include enactment of laws relevant to the social economy and establishment of direct and indirect support systems.
▸ Korea is also building a foundation for quantitative growth for nurturing social enterprises and its support by improving law and system, conducting pilot projects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However, relevant policies in the fisheries sector have produced low outcome although the result showed better effect than expected.
- As of 2018, a total of 18,606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re in operation in Korea. Among them, the number of the federation of cooperatives is the highest with 13,596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followed by 1,978 social enterprises.
-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is 15, accounting for a mere 0.7% of the total. Despite small in size, social enterprises in fisheries sector have produced higher effect than the average in terms of sales and job creation.
▸ Given social capital of fishing communities and changing policy environment of the government,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is forecasted to increase.
- Fishing communities are serving a unique role as a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mmunity as well as a grassroots community. In addition, fishing communities are facing an increasing need for resuming and recovering social capital, calling for the adoption of social economy as an alternative.
-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to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is increasingly higher following the changes of the government’s policy environment. These changes includ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local close-knit living SOC and pilot introduction of measures for invigorating social fisheries industry.
▸ However, following elements are pointed as major limitations in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 Lack of support system: Absence of legal ground for support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support foundation for nurturing them
- Lack of awareness: Shortage of awareness for capacity as well as public and social value of local communities and conflicts of local communities etc.
▸ The study proposes four basic directions and three major strategies for invigorat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fisheries industry.
- Four basic directions are as follows; nurturing grassroots communities and introducing exist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fisheries society, building a foundation for indirect support and ecosystem for growth, strengthening the role of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and forming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and differentiating maritime and fisheries sector from others
- The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three major strategies; nurtur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maritime and fisheries sector, establishing private-public cooperation system and invigorating the social economy. Along with these strategies, 7 implementation tasks and 15 specific tasks are suggested as follows
 
2) Policy suggestions and relevant activities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as well as adoption and invigoration measures applicable to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Thereby,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in suggesting policy measures for major economic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cannot solve.
▸ I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evant to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by acting on a national task of ‘invigorating the social economy’ and proposing specific implementation tasks.
 
3) Expected benefits including policy contribution
▸ By switching fisheries-oriented economic system to social economy, the study contributes to job creation and invigoration of the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 Social economy enables solving problem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apitalism and urbanization, such as aging, polarization and hollowing out of fishing communities,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in fishing villages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수시연구 상세보기
수산업·어촌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구분 수시 2018-06 발간일 2019-07-31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류정곤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어촌의 양극화 해소, 고용창출, 사회안전망 강화 및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산업·어촌 분야에 사회적 경제 도입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음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 방법
 
<표> 본 연구 방법의 특징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는 수산업·어촌 분야 사회적 경제 개념의 정립 및 도입 가능성, 그리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음
- 문헌조사에 있어서는 타 분야의 사회적 경제 도입 및 활성화 정책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수집·분석하였고, 이를 수산업·어촌의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하였음
- 현장조사에 있어서는 사회적 기업 및 협동조합 등을 포함한 국내 우수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방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수산업·어촌 분야 사회적 경제 도입 가능성과 도입 방향을 도출하는데 활용하였음
- 해외사례에 있어서는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등 사회적 경제가 활성화 된 주요 국가의 경우 관련 문헌을 통해 조사·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캐나다 퀘벡의 경우는 우리나라가 사회적 기업제도를 도입할 당시 대표적인 벤치마킹 사례로서 방문조사가 필요하였기에 실제 출장조사가 실시되었음.
- 또한 국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방문조사 및 워크숍을 통해 국내의 사회적 경제 및 사회적 기업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뿐만 아니라 수산업․어촌 분야에서의 사회적 경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향성 설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데 동 워크숍이 활용되었음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사회적 경제’는 호혜성에 기초한 재분배 원리를 통해 국가와 시장이 풀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는 대안적 가치이자 공동체 전략으로 등장한 개념임
- 동 개념에 바탕을 둔 사회적 경제체제는 공익 즉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사익을 발생시키는 경제체제로서, 구성원간 협력·자조를 바탕으로 재화 및 서비스 생산·판매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을 의미함
▸ 전 세계적으로 빈부격차․고용불안․고령화 등의 구조적 문제에 직면하면서 사회적 가치 실현 및 사회적 경제의 중요성은 더욱 더 부각되고 있음
- EU 등 주요 국가들의 경우 저성장․저고용으로 경제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사회적 경제를 새로운 해결책으로 평가하고 있음
- 또한 이러한 사회적 경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사회적 경제 관련 법률 제정 및 직․간접적인 지원제도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경제기업의 활동을 보장하고 있음
▸ 법·제도 개선, 시범사업 실시, 사회적 인식 확산 등을 통해 우리나라는 사회적 경제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양적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으나, 수산분야에 정책적으로 추진된 실적은 기대 이상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매우 저조한 실정임
- 2018년 주요 사회적 경제조직은 총 18,606 업체가 운영 중이며, 이중 「협동조합 기본법」에 의한 협동조합이 가장 많은 13,596개 그리고 사회적 기업이 1,978개임
- 그러나 수산업․어촌 분야의 경우 사회적 기업은 15개로 전체의 0.7%에 불과하나 매출액, 이익 및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는 사회적 기업 평균 수준 이상의 효과를 보이고 있음
▸ 어촌의 사회적 자본 및 정부의 정책환경 변화 등을 고려할 경우 수산업·어촌의 사회적 경제 도입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사회·경제·문화적 공동체 및 풀뿌리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촌의 특수성과 함께 동 지역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회복과 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회적 경제의 도입이 부각되고 있음 
- 또한 지역밀착형 생활 SOC 확충․정비, 사회적 수산업 활성화 정책 시범도입 등 정부의 정책환경 변화에 따라 수산업․어촌의 사회적 경제 도입은 그 가능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수산업·어촌 분야 사회적 경제 도입 시 다음의 사항은 도입에 대한 주된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 지원제도의 부재: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지원근거의 부재 및 동 조직의 육성을 위한 지원기반의 취약성
- 인식 부족: 지역공동체의 역량 및 공익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그리고 지역공동체의 갈등 등
▸ 수산업·어촌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4개의 기본방향과 3대 주요 전략 등을 제시함
- 4개 기본방향으로 어촌사회 풀뿌리 공동체 육성과 기존 사회적 경제조직 유입 병행, 간접지원과 성장 생태계 기반 조성, 민간·지자체의 역할 강화, 부처 간 협업체계와 해양·수산분야의 차별성 확보를 제시함
- 해양·수산분야 사회적 경제조직 육성, 민관 협업체계 구축,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정비를 골자로 하는 3대 주요 전략과 함께, 이에 따른 7대 추진과제 및 15개 세부과제를 제시함
 
<표> 해양수산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 전략별 추진과제
 
2) 정책대안 제시 및 정책화 활동
▸ 수산업·어촌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의 개념, 도입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국가와 시장이 해결할 수 없는 주요 경제 문제에 대한 정책대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 '사회적 경제 활성화'라는 국정과제 부합 및 이를 위한 구체적 추진·세부과제를 제시함으로서 수산업·어촌분야 사회적 경제와 관련한 정책 수립 마련에 기여함
 
3) 정책적 기여 등 기대효과
▸ 어업중심의 경제체제를 사회적 경제로 전환하여 일자리 창출 및 어촌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음
▸ 산업자본주의 발전 및 도시화로 인한 어촌의 노령화 및 양극화, 어촌공동화를 사회적 경제를 통해 해소하고 어촌의 삶의 질을 경제적 관점에서 개선할 수 있음

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while presenting measures to invigorate them.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resolving polarization in fishing communities, creating jobs, strengthening social safety net and invigorating local communities.
 
2. Methodology and Feature
1) Methodology
 
<Table> Characteristics of the methodology
 
2) Feature
▸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fisheries industr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m and measures to invigorate them.
- For literature review,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receding studies relevant to the introduction of social economy in other sectors as well as invigoration measures. This analysis was utilized to present measures to invigorate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 On-site investigation consists of visiting research to best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in Korea including social enterprises and cooperativ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erved as a basis for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and its direction in fishing communities and fisheries industry.
- Foreign cases were used to investigate and study relevant literature of major countries in which social economy has invigorated such as the UK, Italy and Spain. However, the study carried out a business trip to Quebec, Canada since it was a benchmark case when Korea had adopted social enterprise system.
- Having carried out visiting research and workshops targeting domestic experts, the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ocial economy and social enterprises in Korea. Furthermore, workshops were utilized to collect opinions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and setting direction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3. Result
1) Summary
▸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emerged as an alternative value and communal strategy based on the principal of reciprocity and redistribution, while seeking to address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or market cannot solve
- The social economic system based on this concept is an economic framework in pursuit of public interest, in other words, social value, while generating private interest. In addition, it means economic activities generating social value through production and sale of goods and services based on cooperation and self-support among members.
▸ As the world is facing structural problems such as widening gap between rich and poor, job instability and aging, the importance of realizing social value as well as the social economy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 Having changed economic structures arising from low growth and low employment, major countries such as the EU is evaluating the social economy as a new solution.
- Furthermore, these countries strive to ensure various forms of economic activities by social economic enterprises to realize the social economy. Such measures include enactment of laws relevant to the social economy and establishment of direct and indirect support systems.
▸ Korea is also building a foundation for quantitative growth for nurturing social enterprises and its support by improving law and system, conducting pilot projects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However, relevant policies in the fisheries sector have produced low outcome although the result showed better effect than expected.
- As of 2018, a total of 18,606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re in operation in Korea. Among them, the number of the federation of cooperatives is the highest with 13,596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followed by 1,978 social enterprises.
-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is 15, accounting for a mere 0.7% of the total. Despite small in size, social enterprises in fisheries sector have produced higher effect than the average in terms of sales and job creation.
▸ Given social capital of fishing communities and changing policy environment of the government,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is forecasted to increase.
- Fishing communities are serving a unique role as a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mmunity as well as a grassroots community. In addition, fishing communities are facing an increasing need for resuming and recovering social capital, calling for the adoption of social economy as an alternative.
-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to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is increasingly higher following the changes of the government’s policy environment. These changes includ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local close-knit living SOC and pilot introduction of measures for invigorating social fisheries industry.
▸ However, following elements are pointed as major limitations in introduc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 Lack of support system: Absence of legal ground for support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support foundation for nurturing them
- Lack of awareness: Shortage of awareness for capacity as well as public and social value of local communities and conflicts of local communities etc.
▸ The study proposes four basic directions and three major strategies for invigorating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fisheries industry.
- Four basic directions are as follows; nurturing grassroots communities and introducing exist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fisheries society, building a foundation for indirect support and ecosystem for growth, strengthening the role of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and forming cooperation system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and differentiating maritime and fisheries sector from others
- The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three major strategies; nurtur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maritime and fisheries sector, establishing private-public cooperation system and invigorating the social economy. Along with these strategies, 7 implementation tasks and 15 specific tasks are suggested as follows
 
2) Policy suggestions and relevant activities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as well as adoption and invigoration measures applicable to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Thereby,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in suggesting policy measures for major economic problems that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cannot solve.
▸ I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evant to the social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and the fisheries industry by acting on a national task of ‘invigorating the social economy’ and proposing specific implementation tasks.
 
3) Expected benefits including policy contribution
▸ By switching fisheries-oriented economic system to social economy, the study contributes to job creation and invigoration of the economy in fishing communities.
▸ Social economy enables solving problem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capitalism and urbanization, such as aging, polarization and hollowing out of fishing communities,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lives in fishing villages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이전글 해양생태도의 정책활용도 제고방안 연구
다음글 최저임금 상승이 항만연관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