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연구정보KMI 총서학술총서

학술총서

학술총서 상세보기
해양공간계획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10)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11-20
권호 10 발행일 2020.10.31.
저자 Jacek Zaucha Kira Gee 외 조회수1239
파일

01. 해양공간계획 연구와 정책 동향

02. 해양을 바라보는 관점

03. 아일랜드해의 생태계기반 관리와 해양공간계획: 도전과 기회

04. 체계적 보존계획: 생태학적·생물학적 중요해역(EBSA) 지정과 해양공간계획 수립의 개선 수단

05. 고전적 입지론의 해양공간 적용 가능성

06. 해양공간계획과 EU의 청색성장 정책: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07. 해양공간계획과 사회문학적 요소

08. 해양공간계획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09. 해양공간계획에서 정치와 권력

10. 해양공간계획과 이해관계자 참여 사다리

11. 해양공간계획과 육지-해양 상호작용

12. 연안통합관리와 해양공간계획의 연계: 지중해 사례

13. 이해관계자 참여의 이상과 현실: 유럽 대서양 사례

14.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시나리오 작성

15. 해양공간계획의 위험 관리

16. 해양공간계획에서 해양법의 역할

17. 국가관할권 이원해역과 해양공간계획

18. 해양공간계획의 평가

19. 해양공간계획 수립자를 위한 교육·훈련

학술총서 상세보기
해양공간계획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10)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11-20
권호 10 발행일 2020.10.31.
저자 Jacek Zaucha Kira Gee 외 조회수1239
파일

01. 해양공간계획 연구와 정책 동향

02. 해양을 바라보는 관점

03. 아일랜드해의 생태계기반 관리와 해양공간계획: 도전과 기회

04. 체계적 보존계획: 생태학적·생물학적 중요해역(EBSA) 지정과 해양공간계획 수립의 개선 수단

05. 고전적 입지론의 해양공간 적용 가능성

06. 해양공간계획과 EU의 청색성장 정책: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07. 해양공간계획과 사회문학적 요소

08. 해양공간계획과 사회적 지속가능성

09. 해양공간계획에서 정치와 권력

10. 해양공간계획과 이해관계자 참여 사다리

11. 해양공간계획과 육지-해양 상호작용

12. 연안통합관리와 해양공간계획의 연계: 지중해 사례

13. 이해관계자 참여의 이상과 현실: 유럽 대서양 사례

14. 해양공간계획을 위한 시나리오 작성

15. 해양공간계획의 위험 관리

16. 해양공간계획에서 해양법의 역할

17. 국가관할권 이원해역과 해양공간계획

18. 해양공간계획의 평가

19. 해양공간계획 수립자를 위한 교육·훈련

이전글 한강하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9)
다음글 남중국해: 아시아의 패권투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학술총서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