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개연구사업

연구사업

연구수행 현황 상세보기
(기본 2019-17) 해운 기업 비즈니스 모델과 경쟁우위 분석 연구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해운기업의 생존 및 발전전략을 지원하고 정부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해운 비즈니스 모델 분류체계의 설계, 모델별 경쟁우위요소의 도출,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방법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는 기존의 해운 비즈니스 모델인 선종별 분류체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델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우리나라 선사들에 적용하여 해운 비즈모델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연구임


▸ 특히, 화물 중심의 해운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 선주모델, 운임거래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장기해운발전 모델 육성을 위한 기초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음


▸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런던대학교 CASS Business School의 Nikos Nomikos 교수와 공동연구를 실시하여 해외 해운 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분석하여 국적 선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


▸ 이 연구는 해운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핵심 경쟁우위요소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국적 선사의 장기 발전방향과 경쟁력 제고에 기여 가능함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기존 해운기업 분류체계인 운항서비스(정기선, 부정기선) 또는 운항화물(컨테이너/벌크/탱커)에서 벗어나 수송능력 확보, 해운계약 형태, 시장노출을 기준으로 총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함
- 예로 일반수송선사모델은 선박소유, 화물운송에 직접 참여하며 시황에 노출된 사업모델로 화물운송시장에 참여하는 컨테이너 선사들이 동 모델에 포함됨


▸ 해운 비즈니스 모델 핵심 경쟁요소를 세분화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함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여 가치(Value)를 창출하기 위한 핵심활동과 자원이 무엇인지를 구체화하여 핵심 경쟁우위요소 18개(공통요소 5개, 기능요소 13개)를 도출함
- 다섯 가지 공통요소는 사업, 자본구조, 거버넌스, 기업문화, 글로벌 역량이며, 열세 가지 기능별 요소는 전략적 제휴, 법률/계약관리, 평판/브랜드, 시장리스크 관리, 시장분석/예측, 전후방모드 통제, 자금조달, 해사기술, 운항 전문성, 운영 IT, 가격결정능력, 세일즈, 고객관리임


▸ 분류된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 중요도 조사 결과 수송선사, 선주모델, 운영선사모델 순으로 조사됨


▸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도와 모델별 핵심 경쟁우위요소를 도출함
- 분류된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 중요도 조사 결과 수송선사, 선주모델, 운영선사모델 순으로 조사됨
- 모델별 핵심 경쟁우위요소는 일반수송선사는 사업구조, 노출형 수송선사는 자금구조/조달, 일반운영선사는 시장리스크 관리, 비노출형 운영선사는 글로벌 역량 및 영업, 선주모델은 자본구조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분석됨


2) 정책대안 제시내용 및 정책화 활동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운비즈니스 모델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첫째, 해운기업의 자본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해운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상업금융기관 육성과 함께 사모펀드(PEF)가 해운기업에 장기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자에 대한 세제혜택 마련을 제안함
- 그 외 선박운영과 소유를 분리하여 투자와 시장위험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운영선사와 선주를 나눠서 육성하는 방안도 촉구함


▸ 둘째, 해운 시황 예측과 시장위험 강화를 위해 정부 프로젝트로 표준시스템 개발․보급을 제안했으며 국책연구기관을 통해 공적역량 확보가 수반되어야 함


▸ 셋째, 해운기업의 법률․계약 관리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공공기관 산하의 ‘해운전문역량 지원센터’ 설립을 제안함
- 동 기관은 법률자문과 화물지식 교육, 전문자료 번역 등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퇴직실무전문가, 영국변호사 등으로 구성하면 조기퇴직인력에 대한 고용안정성 제고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3) 정책적 기여 등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해운비즈니스 모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모델별 경쟁우위요소를 도출하여 우리나라 해운의 미래상을 모델별로 도출하고, 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함
- 2018년 발표된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이나 해운산업 장기발전계획에서 보듯이 지금까지의 해운정책에 있어 해운업의 속성에 따른 사업모델 분류가 되지 않음


▸ 기업은 기업이 속한 사업영역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과 성장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는데 사업모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기업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하여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

연구수행 현황 상세보기
(기본 2019-17) 해운 기업 비즈니스 모델과 경쟁우위 분석 연구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9-08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해운기업의 생존 및 발전전략을 지원하고 정부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해운 비즈니스 모델 분류체계의 설계, 모델별 경쟁우위요소의 도출,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방법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는 기존의 해운 비즈니스 모델인 선종별 분류체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델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우리나라 선사들에 적용하여 해운 비즈모델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연구임


▸ 특히, 화물 중심의 해운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 선주모델, 운임거래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장기해운발전 모델 육성을 위한 기초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 연구 의의가 있음


▸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런던대학교 CASS Business School의 Nikos Nomikos 교수와 공동연구를 실시하여 해외 해운 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분석하여 국적 선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


▸ 이 연구는 해운기업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핵심 경쟁우위요소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국적 선사의 장기 발전방향과 경쟁력 제고에 기여 가능함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기존 해운기업 분류체계인 운항서비스(정기선, 부정기선) 또는 운항화물(컨테이너/벌크/탱커)에서 벗어나 수송능력 확보, 해운계약 형태, 시장노출을 기준으로 총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함
- 예로 일반수송선사모델은 선박소유, 화물운송에 직접 참여하며 시황에 노출된 사업모델로 화물운송시장에 참여하는 컨테이너 선사들이 동 모델에 포함됨


▸ 해운 비즈니스 모델 핵심 경쟁요소를 세분화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함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활용하여 가치(Value)를 창출하기 위한 핵심활동과 자원이 무엇인지를 구체화하여 핵심 경쟁우위요소 18개(공통요소 5개, 기능요소 13개)를 도출함
- 다섯 가지 공통요소는 사업, 자본구조, 거버넌스, 기업문화, 글로벌 역량이며, 열세 가지 기능별 요소는 전략적 제휴, 법률/계약관리, 평판/브랜드, 시장리스크 관리, 시장분석/예측, 전후방모드 통제, 자금조달, 해사기술, 운항 전문성, 운영 IT, 가격결정능력, 세일즈, 고객관리임


▸ 분류된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 중요도 조사 결과 수송선사, 선주모델, 운영선사모델 순으로 조사됨


▸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의 중요도와 모델별 핵심 경쟁우위요소를 도출함
- 분류된 일곱 가지 해운 비즈니스 모델 중요도 조사 결과 수송선사, 선주모델, 운영선사모델 순으로 조사됨
- 모델별 핵심 경쟁우위요소는 일반수송선사는 사업구조, 노출형 수송선사는 자금구조/조달, 일반운영선사는 시장리스크 관리, 비노출형 운영선사는 글로벌 역량 및 영업, 선주모델은 자본구조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분석됨


2) 정책대안 제시내용 및 정책화 활동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운비즈니스 모델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제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첫째, 해운기업의 자본구조를 강화하기 위한 해운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상업금융기관 육성과 함께 사모펀드(PEF)가 해운기업에 장기 투자할 수 있도록 투자자에 대한 세제혜택 마련을 제안함
- 그 외 선박운영과 소유를 분리하여 투자와 시장위험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운영선사와 선주를 나눠서 육성하는 방안도 촉구함


▸ 둘째, 해운 시황 예측과 시장위험 강화를 위해 정부 프로젝트로 표준시스템 개발․보급을 제안했으며 국책연구기관을 통해 공적역량 확보가 수반되어야 함


▸ 셋째, 해운기업의 법률․계약 관리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공공기관 산하의 ‘해운전문역량 지원센터’ 설립을 제안함
- 동 기관은 법률자문과 화물지식 교육, 전문자료 번역 등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퇴직실무전문가, 영국변호사 등으로 구성하면 조기퇴직인력에 대한 고용안정성 제고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3) 정책적 기여 등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해운비즈니스 모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모델별 경쟁우위요소를 도출하여 우리나라 해운의 미래상을 모델별로 도출하고, 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함
- 2018년 발표된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이나 해운산업 장기발전계획에서 보듯이 지금까지의 해운정책에 있어 해운업의 속성에 따른 사업모델 분류가 되지 않음


▸ 기업은 기업이 속한 사업영역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정성과 성장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는데 사업모델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기업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게 하여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

이전글 (기본 2019-18) 국내 항만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다음글 (기본 2019-16) 해상 사이버 보안체계 강화방안 연구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