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개연구사업

연구사업

연구수행 현황 상세보기
(기본 2019-20) 수출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협력 수준 분석과 물류정책 방안 연구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기업과 물류기업 간의 글로벌 공급사슬협력 및 공급사슬 지원역량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또한 물류 고객의 관점에서 우리 수출기업의 글로벌 물류 애로요인을 규명하고, 수출기업의 규모별 특성에 맞는 물류정책 및 세부추진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의 방법


▸ 문헌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자문 등을 통해 글로벌 공급사슬 협력 특성, 주요국의 화주-물류기업 간의 공급사슬 협력 지원 정책 및 사례를 분석함
- 물류업계, 관련 공공기관 및 정부 부처 담당자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산·학·연·정 워크숍을 개최함


▸ 또한 우리나라 화주인 수출기업과 물류기업 간 공급사슬 협력 수준 분석 및 물류 애로사항 도출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물류정책 추진방향, 로드맵 등을 구상함
- 기업 규모별 공급사슬 협력 수준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분산분석(ANOVA), 공급사슬 지원역량과 협력 수준 요인과의 관계 분석을 위한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함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는 단순히 공급사슬협력 수준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규명이 아닌 공급사슬협력 수준 차이에 대한 원인, 공급사슬 경쟁력 저하요인, 협력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함


▸ 또한 물류기업 관점이 아닌 화주기업 관점에서 국제물류 애로요인을 규명하고, 공급사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물류정책 방안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짐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공급사슬협력 수준) 수출 화주가 인식하고 있는 화주-물류기업 간 글로벌 공급사슬 협력 수준은 낮은 것으로 조사됨- 특히 화주기업은 협력 물류기업과 장기적 수요예측 정보, 재고정보, 공동물류활동 계획 등 중장기성 정보 공유의 필요성을 낮게 인식, 이는 중견/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더욱 심각한 실정임


▸ (협력 저해요인) 공급사슬협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SCM/물류 전문인력 부족’, ‘화주-물류기업 간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낮은 수준의 정부지원’ 등이 지적됨


▸ (협력 성공요인) ‘커뮤니케이션 의지’, ‘관계의 투명성’, ‘상호의존성’ 등이 성공적인 공급사슬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요소로 조사됨
- 이는 성공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화주-물류기업 간 원활한 의사소통 및 신뢰관계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함을 시사함


▸ (LSP 지원역량) 화주기업은 우리 물류기업(LSP)의 글로벌 공급사슬 지원역량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물류기업은 스스로는 그들의 지원역량 수준이 평균보다 높다고 인식함
- 다만 화주기업과 물류기업이 인식하는 부문별 지원역량 수준 평가는 운송관리, 기타서비스, 정보시스템, 보관서비스 순으로 일치함


▸ (애로사항) 화주기업이 사업수행 시 느끼는 물류부문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높은 물류비용과 복잡한 통관절차로 조사됨


▸ (정책수요) 수출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물류부문 지원 요구정책을 조사한 결과, 기업규모별 요구 물류정책에 대한 필요성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
- 중소기업의 경우, ‘해외진출 정보 DB 구축’, ‘물류 애로사항을 현지 정부에 지속 전달 및 개선요구’ 등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음
- 중견/대기업은 ‘화주-물류기업 동반진출 등의 컨설팅 활성화’, ‘화주-물류기업 간 신규 매칭지원’ 등의 정책이 상대적으로 더 필요하다고 응답함


2) 정책대안 제시내용 및 정책화 활동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글로벌 물류정책 목표 및 4대 추진방향은 다음과 같음


▸ (추진로드맵) 본 연구에서는 4대 추진방향에 따른 6대 추진전략을 수립했으며, 각 전략별 세부 추진과제별 종합 로드맵을 제시함
- 2020년 수립 예정인 “국가물류기본계획(2021~ 2030)”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와 국토교통부의 노력이 필요할 것임


3) 정책적 기여 등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물류정책 목표 및 추진전략 등을 바탕으로 수출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 경쟁력, 화주-물류기업 간 협력 수준, 물류기업의 공급사슬 지원역량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이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개선 TF 구성 및 운영, 둘째, 공급사슬 지원 관련 민관합동 협업 채널 구축, 셋째, 「물류정책기본법」 개정 추진 T/F 구성 및 운영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임


연구수행 현황 상세보기
(기본 2019-20) 수출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협력 수준 분석과 물류정책 방안 연구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9-08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기업과 물류기업 간의 글로벌 공급사슬협력 및 공급사슬 지원역량 수준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또한 물류 고객의 관점에서 우리 수출기업의 글로벌 물류 애로요인을 규명하고, 수출기업의 규모별 특성에 맞는 물류정책 및 세부추진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의 방법


▸ 문헌연구, 전문가 심층 인터뷰 및 자문 등을 통해 글로벌 공급사슬 협력 특성, 주요국의 화주-물류기업 간의 공급사슬 협력 지원 정책 및 사례를 분석함
- 물류업계, 관련 공공기관 및 정부 부처 담당자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하여 산·학·연·정 워크숍을 개최함


▸ 또한 우리나라 화주인 수출기업과 물류기업 간 공급사슬 협력 수준 분석 및 물류 애로사항 도출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물류정책 추진방향, 로드맵 등을 구상함
- 기업 규모별 공급사슬 협력 수준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분산분석(ANOVA), 공급사슬 지원역량과 협력 수준 요인과의 관계 분석을 위한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함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는 단순히 공급사슬협력 수준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규명이 아닌 공급사슬협력 수준 차이에 대한 원인, 공급사슬 경쟁력 저하요인, 협력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함


▸ 또한 물류기업 관점이 아닌 화주기업 관점에서 국제물류 애로요인을 규명하고, 공급사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물류정책 방안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기존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짐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공급사슬협력 수준) 수출 화주가 인식하고 있는 화주-물류기업 간 글로벌 공급사슬 협력 수준은 낮은 것으로 조사됨- 특히 화주기업은 협력 물류기업과 장기적 수요예측 정보, 재고정보, 공동물류활동 계획 등 중장기성 정보 공유의 필요성을 낮게 인식, 이는 중견/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더욱 심각한 실정임


▸ (협력 저해요인) 공급사슬협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SCM/물류 전문인력 부족’, ‘화주-물류기업 간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낮은 수준의 정부지원’ 등이 지적됨


▸ (협력 성공요인) ‘커뮤니케이션 의지’, ‘관계의 투명성’, ‘상호의존성’ 등이 성공적인 공급사슬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요소로 조사됨
- 이는 성공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화주-물류기업 간 원활한 의사소통 및 신뢰관계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함을 시사함


▸ (LSP 지원역량) 화주기업은 우리 물류기업(LSP)의 글로벌 공급사슬 지원역량 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물류기업은 스스로는 그들의 지원역량 수준이 평균보다 높다고 인식함
- 다만 화주기업과 물류기업이 인식하는 부문별 지원역량 수준 평가는 운송관리, 기타서비스, 정보시스템, 보관서비스 순으로 일치함


▸ (애로사항) 화주기업이 사업수행 시 느끼는 물류부문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높은 물류비용과 복잡한 통관절차로 조사됨


▸ (정책수요) 수출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물류부문 지원 요구정책을 조사한 결과, 기업규모별 요구 물류정책에 대한 필요성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
- 중소기업의 경우, ‘해외진출 정보 DB 구축’, ‘물류 애로사항을 현지 정부에 지속 전달 및 개선요구’ 등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음
- 중견/대기업은 ‘화주-물류기업 동반진출 등의 컨설팅 활성화’, ‘화주-물류기업 간 신규 매칭지원’ 등의 정책이 상대적으로 더 필요하다고 응답함


2) 정책대안 제시내용 및 정책화 활동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글로벌 물류정책 목표 및 4대 추진방향은 다음과 같음


▸ (추진로드맵) 본 연구에서는 4대 추진방향에 따른 6대 추진전략을 수립했으며, 각 전략별 세부 추진과제별 종합 로드맵을 제시함
- 2020년 수립 예정인 “국가물류기본계획(2021~ 2030)”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와 국토교통부의 노력이 필요할 것임


3) 정책적 기여 등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물류정책 목표 및 추진전략 등을 바탕으로 수출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 경쟁력, 화주-물류기업 간 협력 수준, 물류기업의 공급사슬 지원역량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이를 적극 추진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개선 TF 구성 및 운영, 둘째, 공급사슬 지원 관련 민관합동 협업 채널 구축, 셋째, 「물류정책기본법」 개정 추진 T/F 구성 및 운영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임


이전글 (기본 2019-21) 신선식품 수출입 증대를 위한 우리나라 항만물류 개선 방안
다음글 (기본 2019-19) 동북아 공동배출규제해역 지정 필요성 및 추진방안 연구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