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개연구사업

연구사업

연구수행 현황 상세보기
(기본 2019-21) 신선식품 수출입 증대를 위한 우리나라 항만물류 개선 방안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신선식품 수출입 증대를 위한 국내 항만물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글로벌 신선화물 시장의 잠재력 분석, 국내 항만 유치가능 신선식품 품목 도출, 글로벌 주요 콜드체인 항만의 사례 분석 등을 수행하였음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신선화물 시장의 규모 및 전망, 해당 시장에서의 기회 및 성장 요인 분석, 글로벌 신선식품 운송 현황 등의 검토가 선행적으로 이루어졌음


▸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신선화물 시장의 잠재력을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국내 항만의 신선식품 유치에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을 분야별(항만, 시설, 운영 및 기술)로 도출하였음


▸ 나아가 신선식품의 유치여건을 분석하기 위해 글로벌 주요 콜드체인 항만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글로벌 소비자(한중일 중심)들을 대상으로 신선식품 선택 요인을 분석하였음


▸ 국내 항만 유치대상 품목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 수출입 신선식품 현황, 군집분석, 전문가 자문, AHP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유치 품목을 대상으로 물류패턴을 분석하여 물량 증대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음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해외사례분석, 신선식품 구매 및 취급 대상이 되는 소비자 및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다양한 분석 등을 실시하여 향후 국내 항만물류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음
- 이를 통해 국내 항만이 집중해야 하는 구체적인 신선식품 품목군에 대한 도출이 가능하였으며, 동시에 향후 국내 항만이 지향해야 하는 미래 항만상을 도출할 수 있었음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최근의 경제성장률 및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의 성장세는 2~3%대에 그친 반면 글로벌 신선화물의 시장은 10%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며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됨


▸ 현재 신선식품 시장의 성장에 주요하게 기여하는 요인들은 냉동냉장창고의 노후화,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 편의성 추구, 냉동냉장창고 부족, 식품전자상거래 성장, 소득수준 향상 등으로 모두 우리나라에게는 기회 요인이 될 것으로 사료됨


▸ 국내 항만의 신선식품 유치에 있어 주요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은 크게 항만물류, 시설, 운영, 기술 분야에서 나타남
- 냉동냉장창고 부족, 물동량 확보의 어려움, 냉동냉장창고의 노후화, 높은 초기 투자비용, 온도규정 미표준화, 열악한 근무환경, 전문인력 부족, 검역 지연 등이 주요한 문제점인 것으로 분석됨


▸ 해외항만에서는 적용 및 시행중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미시행중인 분야는 아래와 같은 것으로 나타남
- 편의성(빅데이터 활용한 소비자 패턴분석 등), 원산지(블록체인 기술기반 식품이력추적관리 등), 환경에 대한 영향(신재생 에너지 발전 등), 안정성(온도관리 이력 추적 등), 맛(빅데이터를 활용한 소비자 패턴분석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 항만에 유치 가능한 품목을 도출하기 위해 2차에 걸쳐 분석을 수행함
-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바이오 등 4개 분야에 걸쳐 총 9개의 유치가능 품목(견과류, 커피, 유제품, 어육, 면류, 돼지고기, 김, 김치, 홍삼)을 도출함


▸ 최종적으로 해당 품목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앞서 도출된 시사점(항만운영의 애로사항, 문제점 등)들을 바탕으로 정책제언을 제시함


2) 정책적 기여


▸ 신선식품 시장 분야에 있어 표준화될 수 있는 연구 기반 마련


▸ 국내 항만 유치대상 품목 구체화를 통해 기업의 실무 활용가능성을 증대


▸ 국내 콜드체인(신선식품) 시장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법제도 개선 방안 도출


3) 기대효과


▸ 국내 신선식품 항만 물동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현 콜드체인 시장의 중요성을 부각, 우리나라 항만물류의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연구 분야 제안

연구수행 현황 상세보기
(기본 2019-21) 신선식품 수출입 증대를 위한 우리나라 항만물류 개선 방안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0-09-08
파일

1.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신선식품 수출입 증대를 위한 국내 항만물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글로벌 신선화물 시장의 잠재력 분석, 국내 항만 유치가능 신선식품 품목 도출, 글로벌 주요 콜드체인 항만의 사례 분석 등을 수행하였음


2. 연구의 방법 및 특징


1)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신선화물 시장의 규모 및 전망, 해당 시장에서의 기회 및 성장 요인 분석, 글로벌 신선식품 운송 현황 등의 검토가 선행적으로 이루어졌음


▸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신선화물 시장의 잠재력을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국내 항만의 신선식품 유치에 있어서의 주요 문제점을 분야별(항만, 시설, 운영 및 기술)로 도출하였음


▸ 나아가 신선식품의 유치여건을 분석하기 위해 글로벌 주요 콜드체인 항만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글로벌 소비자(한중일 중심)들을 대상으로 신선식품 선택 요인을 분석하였음


▸ 국내 항만 유치대상 품목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 수출입 신선식품 현황, 군집분석, 전문가 자문, AHP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유치 품목을 대상으로 물류패턴을 분석하여 물량 증대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음


2) 연구의 특징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해외사례분석, 신선식품 구매 및 취급 대상이 되는 소비자 및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다양한 분석 등을 실시하여 향후 국내 항만물류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음
- 이를 통해 국내 항만이 집중해야 하는 구체적인 신선식품 품목군에 대한 도출이 가능하였으며, 동시에 향후 국내 항만이 지향해야 하는 미래 항만상을 도출할 수 있었음


3.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요약


▸ 최근의 경제성장률 및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의 성장세는 2~3%대에 그친 반면 글로벌 신선화물의 시장은 10%가 넘는 성장세를 보이며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됨


▸ 현재 신선식품 시장의 성장에 주요하게 기여하는 요인들은 냉동냉장창고의 노후화,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 편의성 추구, 냉동냉장창고 부족, 식품전자상거래 성장, 소득수준 향상 등으로 모두 우리나라에게는 기회 요인이 될 것으로 사료됨


▸ 국내 항만의 신선식품 유치에 있어 주요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은 크게 항만물류, 시설, 운영, 기술 분야에서 나타남
- 냉동냉장창고 부족, 물동량 확보의 어려움, 냉동냉장창고의 노후화, 높은 초기 투자비용, 온도규정 미표준화, 열악한 근무환경, 전문인력 부족, 검역 지연 등이 주요한 문제점인 것으로 분석됨


▸ 해외항만에서는 적용 및 시행중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미시행중인 분야는 아래와 같은 것으로 나타남
- 편의성(빅데이터 활용한 소비자 패턴분석 등), 원산지(블록체인 기술기반 식품이력추적관리 등), 환경에 대한 영향(신재생 에너지 발전 등), 안정성(온도관리 이력 추적 등), 맛(빅데이터를 활용한 소비자 패턴분석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국내 항만에 유치 가능한 품목을 도출하기 위해 2차에 걸쳐 분석을 수행함
-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바이오 등 4개 분야에 걸쳐 총 9개의 유치가능 품목(견과류, 커피, 유제품, 어육, 면류, 돼지고기, 김, 김치, 홍삼)을 도출함


▸ 최종적으로 해당 품목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앞서 도출된 시사점(항만운영의 애로사항, 문제점 등)들을 바탕으로 정책제언을 제시함


2) 정책적 기여


▸ 신선식품 시장 분야에 있어 표준화될 수 있는 연구 기반 마련


▸ 국내 항만 유치대상 품목 구체화를 통해 기업의 실무 활용가능성을 증대


▸ 국내 콜드체인(신선식품) 시장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법제도 개선 방안 도출


3) 기대효과


▸ 국내 신선식품 항만 물동량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현 콜드체인 시장의 중요성을 부각, 우리나라 항만물류의 개선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연구 분야 제안

다음글 (기본 2019-20) 수출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협력 수준 분석과 물류정책 방안 연구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