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목차

목차

공공일자리의 경우 해양경비 및 안전 분야, 안전한 수산식품 공급체계 구축 분야,

해양환경 관리 분야, 어촌경제 활성화 분야, 해양수산 글로벌 협력 분야 등

국민생활 및 국민경제와 밀접하지만 공공서비스는 부족했던 분야이자

정부가 직접 일자리를 만들기에 적합한 분야로 보았습니다.

 

아울런 해양수산 분야가 갖고 있는 글로벌 특성으로 인해 민간부분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합니다.

이 가운데 해운물류 청년인력 해외진출 프로젝트를 통한 일자리 개척,

해운중개업 육성사업, 해양재해 대응 연안정비사업, 섬지역 소규모 항포구 정비 사업

해양산업클러스터 활성화 사업 등에서 민간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고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통계적 뒷받침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정책수행자들의 실적 평가 시 고용 창출 실적을 평가지표로 반영함으로써

고용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