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8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17/34 페이지)
-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
- 수중소음으로 인한 해양생물에 대한 부정적 영향, 정책적으로 최소화할 필요
- ... 따라서 우선적으로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 또는 민감한 서식지에서는 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수단을 법제도화하는 등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https://news...
- 2018-04-26 / 조회수 906
-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
- 제2차 지속가능해양 이니셔티브(SOI) 글로벌 대화 회의 개최(서울)
- ... 리를 제공하였다. 생물다양성협약의 이지현 박사는 "Seoul Outcome Plus +2"의 초안을 발표하였다. 이 박사는 지역적 규모의 범분야적 협업을 강화하...
- 2018-04-17 / 조회수 975
-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
- 과학자들의 경고, 생물다양성과 자연 기여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한 인간의 위협
- ... 제6차 총회에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에 관하여 지역 평가를 승인하였다. 이 지역 평가는 아메리카, 아시아, 태평양, 아프리카, 유럽, 중앙 아시아를 포함하여 4개 지역으로...
- 2018-04-11 / 조회수 1228
-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
- 전 세계 바다의 1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보호하겠다는 목표, 절반에도 못 미쳐
- ... 한다. 이 때문에 생물다양성협약에서는 2020년까지 전 세계 바다의 10% 이상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목표로 잡기도 했다. 이미 작년 6월 유엔에서 열린 회의에서 생물...
- 2018-03-31 / 조회수 1098
-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
- 캘리포니아 앞바다에서 그물에 걸리는 고래의 숫자 급증, 민간단체는 이 문제를 담당하는 정부기관을...
- ... 대해 민간기구인 생물다양성 센터에서는 게 어업을 관리하는 정부부처를 멸종위기종법에 따라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소송을 제기했다. 향후 해양동물 보호를 위한 그물 개조...
- 2018-03-31 / 조회수 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