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양수산해외산업정보포털
주메뉴
종합
해양
수산
해운물류
항만
상세검색
검색어
검색옵션
검색옵션
통합검색
해양
수산
해운물류
항만
부서명
조회수
내림차순
오름차순
달력
~
달력
*
총 3603건
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9/361 페이지)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해운시황 2020] 유조선(VLCC) K-Line 유조선본부, 중동항로 테러 등 외부요인에 따른 시황등락 등
■설문 1. 2019년의 시황 전반을 돌아본 감상 2. 2020년의 시황 전망(운임·용선료) 3. 시황 동향에 관한 플러스 요인, 마이너스 요인 및 유념해야 할 사항 4. SOx 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 및 유의점 5. 기타 [K-Li...
2020-01-01 / 조회수 4466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미중 무역마찰이 2019년 컨테이너 수송에 미친 영향은. 동남아시아로의 조달처 shift 가속화
미중 무역마찰의 장기화는 2019년 컨테이너 수송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미국에 의한 관세 인상은 아시아발 북미착(북미 동항) 컨테이너 수송의 최대 출하지였던 중국을 직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019년 1-11월 중국발 북미착 컨...
2019-12-31 / 조회수 3399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IMO 2020 SOx 규제] 로이드 선급 (Lloyd's Register) 저유황유 샘플 검사 시 불순물 확인
2020년 1월 1월 발효돼 규정 적용이 1주일이 남지 않은 선박 SOx 규제에 대한 준비상황 점검을 위해 영국 로이드 선급은 2019년 하반기부터 자사 산하에 연료유 성분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FOBAS 자회사를 설립·운영하고 있습...
2019-12-29 / 조회수 3412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IMO 2019 SOx 규제] 해운선사, 화주로의 연료유 할증금 부과에 강경 자세
아시아-미국 컨테이너 항로 등에 최근 저유황 연료(Low Sulfur Fuel Oil·LSFO) 사용으로 인한 연료유 할증금 징수 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해운선사와 포워더는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IMO)의 SOx 규제 관련 코스트 상승분을 화주가 분담하지 않으려고 할 경우 ...
2019-12-26 / 조회수 4207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일본해사신문 선정 2019년 Top10 해운물류] ⑦컨테이너선에서 디지털화 가속
전 세계 컨테이너선 업계에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머스크 라인 주도의 플랫폼(Platform·PF) 트레이드 렌즈(Trade Lens·TL)로 2019년 주요 선사·항만의 참가가 급속히 확대된 바 있습니다. 머스크, IBM은 2018년 8월 TL의 발족 및 서비스 제공 개시 이후 지속적으로 TL로의 참여 확대를 도모...
2019-12-26 / 조회수 3865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일본해사신문 선정 2019년 Top10 해운물류] ①한중일 조선 상위 2개사가 각각 합병·제휴에···
2019년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에서 조선업체의 업계 재편 움직임이 잇따랐습니다. 선복과잉, 건조 능력 과잉 등으로 세계 조선업 시황의 회복이 진행되지 않는 가운데 각국은 합병·제휴를 통한 비용절감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한편 세계...
2019-12-26 / 조회수 3358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일본해사신문 선정 2019년 Top10 해운물류] ②해운선사 SOx 규제 대응으로 연료유 전환에 분주
올해 말까지 아니 몇일 이후 SOx 규제가 발효되면서 전 세계 6만척 이상의 선박이 규제 적합유에 대한 전환을 감행합니다. 2020년 1월에 적용이 시작되는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19-12-26 / 조회수 4125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일본해사신문 선정 2019년 Top10 해운물류] ④미중 무역갈등 제1단계 합의
미중 무역갈등은 2019년에도 계속적으로 심화돼 해상 운송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019년 1분기 아시아발 미국착(북미 동항) 컨테이너 화물량 중 중국발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화물량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2019년 한해 중국발 유럽착 화물의 이동은 활발했습니다. LNG 운반선 관련해서는 6월 중국이 미국산...
2019-12-26 / 조회수 2490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
[시황 2019] 아프라막스 유조선 운임 급등. 전주 대비 60% 상승으로 미국 제재 등이 원인으로 분석
10만 중량톤급 아프라막스 유조선 시황이 급등했습니다. 클락슨 통계에 따르면 12월 23일 카리브-미국 걸프 항로의 시황 수준은 daily 7만 7,299달러로 전주보다 60% 수준 급등했습니다. 이는 아프라막스 손익분기점인 약 ...
2019-12-24 / 조회수 2781
[해운물류 > 해사안전연구실]
https://m
.facebook.com/100035423029232/posts/181624183028348/?notif_id=1577103752138053¬if_t=nf_status_story&ref=notif
2019-12-23 / 조회수 845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검색어순위
오늘
1.
오징어채낚이
2.
채낚이
주간
1.
산지
2.
adq
3.
볼락
4.
오징어 공급
5.
해양생물 피해
6.
해수면 상승 피해
7.
위동항운
8.
중국 반입
9.
세계 마리나
10.
준설토
월간
1.
13
2.
DE
3.
o
4.
아
5.
Seafood
6.
산지
7.
KMI 해외시장분석센
8.
EU ,
9.
feed
10.
Fso
연간
1.
1
2.
FO
3.
Se
4.
국
5.
전
6.
유
7.
활
8.
마
9.
2월
10.
2019년
많이 본 뉴스
오늘
주간
월간
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