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해운물류 > 해운산업연구실]2017-08-02 23:24:32/ 조회수 2253
    • ■ [기자의 시점] 전쟁의 시대 종말 이후 해운산업의 72번째 여름. “비상사태시 민간 상선대 동원은 군국주의의 산물로 동원 의무화 반대” (일본해사신문 타카하시 이쿠오)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 [기자의 시점] 전쟁의 시대 종말 이후 해운산업의 72번째 여름. “비상사태시 민간 상선대 동원은 군국주의의 산물로 동원 의무화 반대” (일본해사신문 타카하시 이쿠오)

      요코하마의 사쿠라기쵸에 있는 일본 NYK 역사박물관에는 1구의 동상이 자리 잡고 있다 ."순직 전몰(戦没) 사원 명복 기원상"이 바로 그것이다. 태평양 전쟁 당시 사망한 NYK의 5,312명의 직원을 애도하기 위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NYK 창립 70주년인 1955년에 건립된 이 동상은 나가사키시 평화 공원의 평화 기원상 동상을 만든 조각가인 키타무라 세이보우(北村西望)의 작품이다. 동상은 "NYK 전몰 사원에 공경심을 바란다"라는 라벨과 함께 관람객 모두가 지나가게 되는 입구 중앙에 놓여 있다.

      *나가사키시: 1945년 8월 9일에 히로시마 시에 이어 두 번째로 미국의 원자 폭탄 공격이 이루어진 도시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은 NYK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일본 선사 모두 전쟁 수행의 기치 아래 민간 선박과 선원이 전시 징용되고 전쟁물자 수송 등에 종사한바 있다. 필리핀 등 남방에서 일본 본토로의 자원 수송 또는 중국(중국 동북부)으로부터 일본 본토로의 수송 업무 등에 종사한 일본 상선대는 대부분 일본 군대의 호위를 받지 않고 이동하다 미국 잠수함이나 항공기의 공격을 받았다.

      고베에 있는 "전사(戰死)한 선박 및 선원 자료관" 전시에 따르면 군에 징용되어 전사한 민간 선원은 알려진 인원만 6만 601명, 상실 선박수는 2,588척 총 847만 총톤에 달한다고 한다.

      즉,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선원의 사망률은 전체 선원 중 40%를 초과했으며 선박의 상실률은 무려 90%에 달하는 등 참 마음이 멍해지는 숫자이다.

      그뿐인가. 일본 정부가 선사에게 지불해야 하는 징용선 용선료 및 선원 사망 보상금 등은 전후 100% 과세 대상이 되었으며 게다가 실제 손실 금액 대비하여 더 적은 보상금이 지급 되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당시 해운관계자들은 국가가 소위 보상금을 "떼먹었다"라는 표현까지 썼다. 전후 일본 선사는 선박과 선원들이 괴멸 상태에 빠졌을 뿐만 아니라 과소한 보상금으로 인해 경영 측면에서도 자본금 부족으로 고생을 하였으며 전쟁의 상처는 아직까지도 일본 해운업계에 각인되어 있다.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건 해운업계 뿐만이 아니다. 항만 또한 엄청난 노고를 겪었다. 전쟁 중 수출입 물량 확대로 인해 주야 겸행으로 가동되어 왔던 항만들도 전쟁 말기에는 공습에 노출되어 항만 시설 파괴를 피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전쟁 이후에도 원활한 무역이 이루어지지 못해 일본이 기아 상태 직전에 몰린 것은 역사적 사실이다.

      또한 항만의 경우 일본이 당시 식민지로 지배했던 한국인 및 미군 포로의 징용과 강제 노역이라는 문제도 그림자를 드리운다.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부터 맞이하는 72번째 여름. 최근 아베 정권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사태시 민간상선대를 동원하는 계획을 수립할 의사가 있음을 발표했다. 그러나 민간상선대 동원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말 이후 잔재하는 군국주의의 산물로 태평양 전쟁 당시 발생한 민간 상선대의 엄청난 피해를 망각하는 결정이다. 해운이나 항만은 과거 직면한 "전쟁의 시대"에서 벗어나 평시 원활한 수출입 지원이라는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https://secure.marinavi.com/
      자료 : 마리나비 일본 해사신문 8월 3일 제4면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