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옵션
    • [해양 > 해양환경·기후연구실]2017-06-30 22:43:01/ 조회수 1002
    •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현재 해양에 플라스틱 대부분은 아시아 국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빠르게 경제발전을 이루고 폐기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아시아 국가의 정부 및 조직에서 모니터링과 해양 플라스틱 발생원을 줄이고 해결하기 위한 저감 노력에 포커스를 둘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평가덧글
      인쇄보내기
    •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현재 해양에 플라스틱 대부분은 아시아 국가에서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빠르게 경제발전을 이루고 폐기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아시아 국가의 정부 및 조직에서 모니터링과 해양 플라스틱 발생원을 줄이고 해결하기 위한 저감 노력에 포커스를 둘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매년 플라스틱 8백만 톤 이상이 바다에 버려진다. 이 해양 쓰레기로 인해 매년 해양동물 10만마리 이상과 바닷새 1백만 마리가 사망한다고 유엔은 밝혔다. 세계경제포럼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플라스틱 소비가 현 추세로 계속 증가할 경우, 2050년쯤 바닷속 플라스틱 무게가 그 곳에 서식하는 어류의 무게를 넘어서게 될 것이라고 한다.
      http://www.rawstory.com/2017/06/study-finds-most-ocean-pollution-comes-from-asian-rivers/
댓글달기

비밀번호 확인

: 취소



많이 본 뉴스

WEEKLY REPORT KMI 동향분석 Ocean & Fisheries 해양수산 KMI 월간동향

하단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