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블루 이코노미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변화 대응 모색을 위한 2025년 공동학술대회 성료 | |||
---|---|---|---|
담당부서 | 해양연구본부 | 보도일 | 2025-08-22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블루 이코노미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변화 대응 모색을 위한 2025년 공동학술대회 성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강원대 경영경제연구소와 공동 개최- -탄소중립·디지털 전환·공급망 재편 등 지속가능 성장 전략 집중 논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 이사장 신동천) 및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소장 정광화)와 8월 2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5년 공동학술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강원대학교와 국립부경대학교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학술대회는 ‘블루 이코노미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변화 대응’을 주제로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급변하는 대외 환경 속에서 해양수산업을 비롯한 주요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정책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신동천 이사장은 영상 환영사를 통해 “연구기관과 지역의 대학, 전문가들이 함께 산업·통상·환경을 포괄하는 이슈에 대해 학제 간 협력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공동연구와 정책 연계를 위한 실질적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환영사에서 “이번 학술대회가 해양수산과 국제통상 분야 전문가들 간 활발한 지식교류 및 새로운 정책제안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하며 “복합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세계 경제상황 속에서 블루 이코노미라는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 모두의 공동 과제이다”고 강조하였다.
학술대회는 기조 발표를 시작으로 △제1분과(국제경영) △제2분과(국제통상) △대학(원)생 발표대회 순으로 진행되었다. 제1분과는 ‘블루 이코노미 기반 산업 환경 변화와 대응’, 제2분과는 ‘지속가능한 통상 질서 변화와 대응’을 주제로 각각 4개의 발표와 토론이, 발표대회는 총 10개 학생팀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기조발표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상열 연구기획조정본부장이 ‘에너지트릴레마 시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에너지 안보, 형평성, 환경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에너지트릴레마 관점에서의 탄소중립 전략을 제시하며 해양수산업과 국제통상 분야의 지속가능한 성장전략이 에너지 전환정책과 긴밀히 연계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이번 공동학술대회에서는 글로벌 공급망과 대외 환경 변화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 해양수산업을 비롯한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이 폭넓게 논의되었다. 특히 해양수산 분야의 블루 이코노미 전환과 디지털 기술 도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국제통상 질서 변화와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산업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이번 논의를 통해 해양수산업이 직면한 도전과제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인 협력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블루 이코노미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변화 대응 모색을 위한 2025년 공동학술대회 성료 | |||
---|---|---|---|
담당부서 | 해양연구본부 | 보도일 | 2025-08-22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블루 이코노미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변화 대응 모색을 위한 2025년 공동학술대회 성료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및 강원대 경영경제연구소와 공동 개최- -탄소중립·디지털 전환·공급망 재편 등 지속가능 성장 전략 집중 논의-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은 경제·인문사회연구회(NRC, 이사장 신동천) 및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소장 정광화)와 8월 2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025년 공동학술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학술대회는 강원대학교와 국립부경대학교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학술대회는 ‘블루 이코노미와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변화 대응’을 주제로 ▲탄소중립 ▲디지털 전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급변하는 대외 환경 속에서 해양수산업을 비롯한 주요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정책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신동천 이사장은 영상 환영사를 통해 “연구기관과 지역의 대학, 전문가들이 함께 산업·통상·환경을 포괄하는 이슈에 대해 학제 간 협력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공동연구와 정책 연계를 위한 실질적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조정희 원장은 환영사에서 “이번 학술대회가 해양수산과 국제통상 분야 전문가들 간 활발한 지식교류 및 새로운 정책제안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하며 “복합적인 변화를 겪고 있는 세계 경제상황 속에서 블루 이코노미라는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 모두의 공동 과제이다”고 강조하였다.
학술대회는 기조 발표를 시작으로 △제1분과(국제경영) △제2분과(국제통상) △대학(원)생 발표대회 순으로 진행되었다. 제1분과는 ‘블루 이코노미 기반 산업 환경 변화와 대응’, 제2분과는 ‘지속가능한 통상 질서 변화와 대응’을 주제로 각각 4개의 발표와 토론이, 발표대회는 총 10개 학생팀이 참가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기조발표는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상열 연구기획조정본부장이 ‘에너지트릴레마 시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에너지 안보, 형평성, 환경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에너지트릴레마 관점에서의 탄소중립 전략을 제시하며 해양수산업과 국제통상 분야의 지속가능한 성장전략이 에너지 전환정책과 긴밀히 연계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이번 공동학술대회에서는 글로벌 공급망과 대외 환경 변화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 해양수산업을 비롯한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이 폭넓게 논의되었다. 특히 해양수산 분야의 블루 이코노미 전환과 디지털 기술 도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국제통상 질서 변화와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산업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이번 논의를 통해 해양수산업이 직면한 도전과제를 극복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인 협력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
다음글 | 정책이 바다를 움직였다... ‘바다가는 달’ 캠페인 연안·해양관광 회복 견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