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대응력 강화 연구 | |||
---|---|---|---|
구분 | 일반 2024-02 | 발간일 | 2024-12-31 |
공공누리 | 제 4유형 | 연구책임자 | 박수진 |
파일 |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0 제2장 주요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분석 21 제1절 기후위기 대응 및 탈탄소 실현 21 제2절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50 제3절 유해물질 관리 및 플라스틱 오염 종식 71 제4절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비교 101 제3장 주요국의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105 제1절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특징 105 제2절 미국과 유럽의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112 제3절 일본과 중국의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129 제4절 종합 149 제4장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진단 및 정책개선 방안 155 제1절 우리나라의 대응 현황 및 진단 156 제2절 대응력 강화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 179 제5장 결론 199 제1절 요약 및 결론 199 제2절 정책제언 202 |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대응력 강화 연구 | |||
---|---|---|---|
구분 | 일반 2024-02 | 발간일 | 2024-12-31 |
공공누리 | 제 4유형 | 연구책임자 | 박수진 |
파일 |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7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0 제2장 주요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분석 21 제1절 기후위기 대응 및 탈탄소 실현 21 제2절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50 제3절 유해물질 관리 및 플라스틱 오염 종식 71 제4절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비교 101 제3장 주요국의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105 제1절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의 특징 105 제2절 미국과 유럽의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112 제3절 일본과 중국의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129 제4절 종합 149 제4장 전환기 글로벌 해양환경규범 대응 진단 및 정책개선 방안 155 제1절 우리나라의 대응 현황 및 진단 156 제2절 대응력 강화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 179 제5장 결론 199 제1절 요약 및 결론 199 제2절 정책제언 202 |
다음글 | 한국과 미동부 항만 간 녹색해운항로 구축방안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