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연구정보연구보고서 신규

연구보고서 신규

공공누리 [제 4유형] 출처 표시 필요, 사업적 이용 불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발간물 보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동향과 우리의 대응: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 상세보기
수시연구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동향과 우리의 대응: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
구분 수시 2024-07 발간일 2024-12-31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채수란
원래 IDX 37039 조회수481
파일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4

제3절 연구내용과 방법 8


제2장 대북제재의 법적 근거와 메커니즘 11

제1절 유엔 대북제재의 법적 근거   11

제2절 독자제재의 법적 근거 23

제3절 독자제재의 주요 내용 25

제4절 대북제재와 시리아·이란·쿠바 제재 비교  43

제5절 소결: 각 제재의 상호보완적 관계 48


제3장 대북제재가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53

제1절 개요 53

제2절 이론적 논의 55

제3절 2016~2019년 대북제재와 북한경제 58

제4절 2020~2023년 대북제재와 북한경제 65

제5절 소결: 대북제재의 효과와 한계77


제4장 해양·수산분야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와 우리의 대응 81 

제1절 개요 81

제2절 2016~2019년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 87

제3절 2020~2023년 진화된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 105

제4절 제재 위반에 대한 우리의 대응 현황 121

제5절 소결 125


제5장 앞으로의 대응 방안 127 

제1절 국제적 차원의 대응 방안 127

제2절 국내적 차원의 대응 방안 137

제3절 소결: 대북제재 이행의 실효성 확보와 향후 과제 140


제6장 결론 143

제1절 요약 143

제2절 정책제언 144

연구보고서 신규 상세보기
수시연구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동향과 우리의 대응: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
구분 수시 2024-07 발간일 2024-12-31
공공누리 제 4유형 연구책임자 채수란
원래 IDX 37039 조회수481
파일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4

제3절 연구내용과 방법 8


제2장 대북제재의 법적 근거와 메커니즘 11

제1절 유엔 대북제재의 법적 근거   11

제2절 독자제재의 법적 근거 23

제3절 독자제재의 주요 내용 25

제4절 대북제재와 시리아·이란·쿠바 제재 비교  43

제5절 소결: 각 제재의 상호보완적 관계 48


제3장 대북제재가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53

제1절 개요 53

제2절 이론적 논의 55

제3절 2016~2019년 대북제재와 북한경제 58

제4절 2020~2023년 대북제재와 북한경제 65

제5절 소결: 대북제재의 효과와 한계77


제4장 해양·수산분야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와 우리의 대응 81 

제1절 개요 81

제2절 2016~2019년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 87

제3절 2020~2023년 진화된 북한의 제재 위반 행태 105

제4절 제재 위반에 대한 우리의 대응 현황 121

제5절 소결 125


제5장 앞으로의 대응 방안 127 

제1절 국제적 차원의 대응 방안 127

제2절 국내적 차원의 대응 방안 137

제3절 소결: 대북제재 이행의 실효성 확보와 향후 과제 140


제6장 결론 143

제1절 요약 143

제2절 정책제언 144

이전글 우리나라 김 수출산업의 공급망 구조 분석
다음글 양식 활어(광어, 우럭, 참돔) 수요체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