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 위한 ‘명품 해양산업’ 집중 조명“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1-11-08 |
파일 | |||
“지역경제 활성화 위한 ‘명품 해양산업’ 집중 조명“
여수엑스포 통한 국가브랜드 제고방안, 미래 여수 청사진 제시 O 2012 여수세계박람회 국제 심포지엄 개최 O 주제 :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 11월 10일(목), 여수 디오션리조트 벨라스타홀(3층)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는 국가적인 메가 이벤트와 명품 해양산업이 주도하는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위원장 강동석, 이하 조직위원회)이 주최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학소)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10일(목) 오전 10시 30분부터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개막을 6개월 앞두고 있는 여수세계박람회에 대한 지역 주민들과 국민들의 공감대를 확대하는 한편, 국가적인 메가 이벤트인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과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일본, 호주,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명품 해양산업 성공사례를 조명함으로써 여수지역 특수성에 맞는 해양산업 발굴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국제심포지엄은 크게 정규세션과 특별세션으로 진행되며, 정규세션은 개막행사, 글로벌 오션리더스 포럼, 주제 및 사례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별세션은 여수 프로젝트 성과를 발표․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조직위원회 강동석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그 동안 여수엑스포의 준비 상황을 설명하고, 국민들의 행사 참여를 적극 주문할 계획이다. 특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여수를 비롯한 남해안이 세계적인 해양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더 나아가 국가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할 예정이다. 앤드류 댈그레이쉬 주한 영국 부대사는 ‘2012 런던올림픽과 지역경제 발전’을 주제로 하는 기조연설에서 2012 런던올림픽 개최를 통해 런던 동북부의 저개발 지역을 친환경 경제특구로 탈바꿈 시킬 전략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메가 이벤트 유치를 지역경제 성장의 전환점으로 삼기 위해 민․관이 협력하여 중장기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사례도 소개할 예정이다. 정규세션 제1부에서는 해양수산 분야 국내․외 석학들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글로벌 오션 포럼이 개최된다. 좌담회 형식으로 진행되는 포럼에서는 해양을 통해 글로벌 기후변화와 세계경제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을 테마로 해양보호와 개발이라는 대립적인 이슈에 대한 조화로운 해결책을 모색한다. 제2부에서는 크게 5개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이 자리에서는 일본, 중국, 호주 등이 지역특성에 맞는 해양산업을 집중 육성해 명품 해양도시로 발돋움한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여수가 세계박람회 개최를 통해 지역에 특화된 해양산업을 발굴할 수 있는 모멘텀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흔한 오징어 특산물 하나로 연간 관광객 500만명을 유치하는 일본 하코다테와, 요트 하나로 세계 요트산업의 메카로 등극한 호주 골드코스트의 성공스토리는 신선한 감동을 전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 세션의 주제도 관심거리다. 먼저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공동으로 추진한 국제협력사업인 ‘여수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이어 남태평양,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총 4개의 세션에서 7개의 협력사업이 소개될 예정이다. 특히 저개발 국가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연안관리, 해양식량자원 분야에서 우리나라 선진 해양수산 기술을 전수하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전지구적인 문제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조직위원회는 이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국가적인 메가 이벤트인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통해 지역경제가 한 단계 성장하고, 나아가 국부(國富)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올해 개최된 총 4회의 국제 심포지엄을 마무리하는 자리로, 여수 지역 내 산․관․학․연 및 일반 시민을 초대해 여수세계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염원하는 한편 여수엑스포 홍보부스를 운영하여 국제심포지엄 참가자들에게 2012 여수세계박람회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끝) ※첨부: 2012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요 ※첨부: 2012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주요 프로그램 별첨 1 2012 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요 ❍ 2012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요 1. 누가 만들고 있나 국제 심포지엄은 2012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와 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BIE)가 주최하고, 국토해양부와 농림수산식품부이 후원하는 가운데,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주관한다. 파트너로는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한국해양연구원 및 해양관련 기업, 해양수산 관련 대학 및 여수지역 단체 등이 참여하였다. 2.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크게 정규 세션과 특별 세션 등 총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정규 세션> 개막행사는 개회식, 여수세계박람회 소개 및 기조연설로 이어진다. 본 행사에 앞서 조직위원회에서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준비 현황을 소개한다. 기조연설에서는 앤드류 댈그레이쉬 주한 영국부대사는 메가이벤트를 이용한 지역경제 개발이라는 주제로 런던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동북부 저개발 지역이 친환경 경제특구로 탈바꿈하게 된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1부는 국내․외 해양리더들을 모시고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주제로 좌담회가 진행된다. 김성진 총장의 사회로 해양산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 경제 성장에 대해 열띤 토론이 이어진다. 글로벌 기후변화와 세계경제위기에 대응하고 국가와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해법을 해양에서 찾는다. 2부는 모두 5개의 주제발표로 진행된다. 발표주제는 명품 해양산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 대표적인 사례를 중섬적으로 선정하였다. 하코다테 수산해양관광 클러스터, 호주 쿠메라 해양특구 개발 사례, 중국 저장성 해양경제발전 시범구 계획 등을 포함해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연구센터 유치와 지역발전 및 해양산업 진흥과 여수발전 전략이 발표된다. <특별 세션> 국제 심포지엄 오후 정규 세션과 같은 시간대에 열리는 특별 세션에서는 국제협력사업인 여수프로젝트 사업의 성과가 발표된다. 남태평양 해양 목장화 사업과 해양오염 폐기물 처리, 인도네시아 연안통합관리와 소도서 환경 보호, 필리핀의 연안지역 재해예방 및 관리, 베트남의 해양환경 보전 및 기후변화 연구사업 등 총 7개의 사업에 대해 사업 책임자의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성과평과와 활용방안에 대해 국내․외 산․관․학 전문가들의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한편, 이번 국제심포지엄에서는 2012 여수세계박람회와 관련된 동영상과 자료 및 홍보부스를 설치․운영하여 국제심포지엄 참가자들에게 여수엑스포를 홍보할 계획이다. 별첨 2 2012 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프로그램 개회식 기조연설 ‘메가 이벤트’를 이용한 지역경제 개발 앤드류 댈그레이쉬 주한 영국부대사 글로벌 오션 포럼 좌장 김성진 한경대 총장(전 해양수산부 장관) 토론자 하동만 원장(전남발전연구원), 김행기 국장(여수시 해양관광수산국), 강창구 회장(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Carl-Christian Schmidt 국장(수산정책국, OECD), Mr. Warren Day 국장(호주 골드코스트시), Soon Keat Tan 소장(싱가포르 대학 해운연구소) 정규 프로그램 주제 1 하코다테 수산해양관광 클러스터 후시타니(伏谷) 위원장(일본 하코다테 특구 추진위) 주제 2 중국 저장성 해양경제발전 시범구 계획 Dr. Tang Zhibo 교수(중국 저장성 해양대학교) 주제 3 해양플랜트 연구센터 유치와 지역발전 이성우 실장(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제물류연구실) 주제 4 호주 쿠메라 해양특구 개발 사례 Warren Day국장(호주 골드코스트시 해양특구개발국) 주제 5 해양산업 진흥과 여수 발전 전략 최상덕 교수(전남대학교) 특별 프로그램 남태평양 세션 남태평양 해양목장화 사업 김대영 박사(한국해양수산개발원) 남태평양 해양오염 폐기물 처리 홍선욱 대표 (OSEAN) 인도네시아 세션 자카르카 만 통합연안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권석재 박사 (한국해양연구원) 인도네시아 연안 및 소도서 환경취약성 지도 작성 김동화 과장 (해양환경관리공단) 필리핀 세션 필리핀 연안지역 재해예방 및 위험관리 역량 강화 김성귀 본부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베트남 세션 베트남 해양환경 보전 및 복원 연구 김창일 부장 (현대정보기술) 베트남 해양순환 및 기후변화 연구 황진환 교수 (동국대학교) 종합토론 좌장 전남대학교 부총장 토론자 황의선 부장(2012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 해외총괄부), 오운열 과장(국토해양부 해양정책과), 황두진 교수(전남대학교), KOICA 담당관, Stella Tukulya 국장(파푸아뉴기니 국가운송계획국), Kenji Sasa 국장(일본 요코하마시 환경국), 남태평양 피지 2인(사업 파트너) |
“지역경제 활성화 위한 ‘명품 해양산업’ 집중 조명“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1-11-08 |
파일 | |||
“지역경제 활성화 위한 ‘명품 해양산업’ 집중 조명“
여수엑스포 통한 국가브랜드 제고방안, 미래 여수 청사진 제시 O 2012 여수세계박람회 국제 심포지엄 개최 O 주제 :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 11월 10일(목), 여수 디오션리조트 벨라스타홀(3층)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는 국가적인 메가 이벤트와 명품 해양산업이 주도하는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2012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위원장 강동석, 이하 조직위원회)이 주최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학소)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10일(목) 오전 10시 30분부터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개막을 6개월 앞두고 있는 여수세계박람회에 대한 지역 주민들과 국민들의 공감대를 확대하는 한편, 국가적인 메가 이벤트인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통한 지역사회 발전과 국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한 일본, 호주,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명품 해양산업 성공사례를 조명함으로써 여수지역 특수성에 맞는 해양산업 발굴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국제심포지엄은 크게 정규세션과 특별세션으로 진행되며, 정규세션은 개막행사, 글로벌 오션리더스 포럼, 주제 및 사례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별세션은 여수 프로젝트 성과를 발표․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조직위원회 강동석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그 동안 여수엑스포의 준비 상황을 설명하고, 국민들의 행사 참여를 적극 주문할 계획이다. 특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여수를 비롯한 남해안이 세계적인 해양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더 나아가 국가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할 예정이다. 앤드류 댈그레이쉬 주한 영국 부대사는 ‘2012 런던올림픽과 지역경제 발전’을 주제로 하는 기조연설에서 2012 런던올림픽 개최를 통해 런던 동북부의 저개발 지역을 친환경 경제특구로 탈바꿈 시킬 전략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메가 이벤트 유치를 지역경제 성장의 전환점으로 삼기 위해 민․관이 협력하여 중장기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사례도 소개할 예정이다. 정규세션 제1부에서는 해양수산 분야 국내․외 석학들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글로벌 오션 포럼이 개최된다. 좌담회 형식으로 진행되는 포럼에서는 해양을 통해 글로벌 기후변화와 세계경제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을 테마로 해양보호와 개발이라는 대립적인 이슈에 대한 조화로운 해결책을 모색한다. 제2부에서는 크게 5개의 주제발표가 진행된다. 이 자리에서는 일본, 중국, 호주 등이 지역특성에 맞는 해양산업을 집중 육성해 명품 해양도시로 발돋움한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여수가 세계박람회 개최를 통해 지역에 특화된 해양산업을 발굴할 수 있는 모멘텀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흔한 오징어 특산물 하나로 연간 관광객 500만명을 유치하는 일본 하코다테와, 요트 하나로 세계 요트산업의 메카로 등극한 호주 골드코스트의 성공스토리는 신선한 감동을 전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별 세션의 주제도 관심거리다. 먼저 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공동으로 추진한 국제협력사업인 ‘여수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이어 남태평양,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등 총 4개의 세션에서 7개의 협력사업이 소개될 예정이다. 특히 저개발 국가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연안관리, 해양식량자원 분야에서 우리나라 선진 해양수산 기술을 전수하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로 야기되는 전지구적인 문제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조직위원회는 이번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국가적인 메가 이벤트인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통해 지역경제가 한 단계 성장하고, 나아가 국부(國富)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올해 개최된 총 4회의 국제 심포지엄을 마무리하는 자리로, 여수 지역 내 산․관․학․연 및 일반 시민을 초대해 여수세계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염원하는 한편 여수엑스포 홍보부스를 운영하여 국제심포지엄 참가자들에게 2012 여수세계박람회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계기로 삼을 방침이다. (끝) ※첨부: 2012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요 ※첨부: 2012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주요 프로그램 별첨 1 2012 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요 ❍ 2012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요 1. 누가 만들고 있나 국제 심포지엄은 2012 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와 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BIE)가 주최하고, 국토해양부와 농림수산식품부이 후원하는 가운데,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주관한다. 파트너로는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한국해양연구원 및 해양관련 기업, 해양수산 관련 대학 및 여수지역 단체 등이 참여하였다. 2.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크게 정규 세션과 특별 세션 등 총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정규 세션> 개막행사는 개회식, 여수세계박람회 소개 및 기조연설로 이어진다. 본 행사에 앞서 조직위원회에서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준비 현황을 소개한다. 기조연설에서는 앤드류 댈그레이쉬 주한 영국부대사는 메가이벤트를 이용한 지역경제 개발이라는 주제로 런던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동북부 저개발 지역이 친환경 경제특구로 탈바꿈하게 된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1부는 국내․외 해양리더들을 모시고 해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주제로 좌담회가 진행된다. 김성진 총장의 사회로 해양산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지역 경제 성장에 대해 열띤 토론이 이어진다. 글로벌 기후변화와 세계경제위기에 대응하고 국가와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해법을 해양에서 찾는다. 2부는 모두 5개의 주제발표로 진행된다. 발표주제는 명품 해양산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 대표적인 사례를 중섬적으로 선정하였다. 하코다테 수산해양관광 클러스터, 호주 쿠메라 해양특구 개발 사례, 중국 저장성 해양경제발전 시범구 계획 등을 포함해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연구센터 유치와 지역발전 및 해양산업 진흥과 여수발전 전략이 발표된다. <특별 세션> 국제 심포지엄 오후 정규 세션과 같은 시간대에 열리는 특별 세션에서는 국제협력사업인 여수프로젝트 사업의 성과가 발표된다. 남태평양 해양 목장화 사업과 해양오염 폐기물 처리, 인도네시아 연안통합관리와 소도서 환경 보호, 필리핀의 연안지역 재해예방 및 관리, 베트남의 해양환경 보전 및 기후변화 연구사업 등 총 7개의 사업에 대해 사업 책임자의 발표가 진행된다. 이어 성과평과와 활용방안에 대해 국내․외 산․관․학 전문가들의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한편, 이번 국제심포지엄에서는 2012 여수세계박람회와 관련된 동영상과 자료 및 홍보부스를 설치․운영하여 국제심포지엄 참가자들에게 여수엑스포를 홍보할 계획이다. 별첨 2 2012 여수세계박람회 국제심포지엄 프로그램 개회식 기조연설 ‘메가 이벤트’를 이용한 지역경제 개발 앤드류 댈그레이쉬 주한 영국부대사 글로벌 오션 포럼 좌장 김성진 한경대 총장(전 해양수산부 장관) 토론자 하동만 원장(전남발전연구원), 김행기 국장(여수시 해양관광수산국), 강창구 회장(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Carl-Christian Schmidt 국장(수산정책국, OECD), Mr. Warren Day 국장(호주 골드코스트시), Soon Keat Tan 소장(싱가포르 대학 해운연구소) 정규 프로그램 주제 1 하코다테 수산해양관광 클러스터 후시타니(伏谷) 위원장(일본 하코다테 특구 추진위) 주제 2 중국 저장성 해양경제발전 시범구 계획 Dr. Tang Zhibo 교수(중국 저장성 해양대학교) 주제 3 해양플랜트 연구센터 유치와 지역발전 이성우 실장(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제물류연구실) 주제 4 호주 쿠메라 해양특구 개발 사례 Warren Day국장(호주 골드코스트시 해양특구개발국) 주제 5 해양산업 진흥과 여수 발전 전략 최상덕 교수(전남대학교) 특별 프로그램 남태평양 세션 남태평양 해양목장화 사업 김대영 박사(한국해양수산개발원) 남태평양 해양오염 폐기물 처리 홍선욱 대표 (OSEAN) 인도네시아 세션 자카르카 만 통합연안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권석재 박사 (한국해양연구원) 인도네시아 연안 및 소도서 환경취약성 지도 작성 김동화 과장 (해양환경관리공단) 필리핀 세션 필리핀 연안지역 재해예방 및 위험관리 역량 강화 김성귀 본부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베트남 세션 베트남 해양환경 보전 및 복원 연구 김창일 부장 (현대정보기술) 베트남 해양순환 및 기후변화 연구 황진환 교수 (동국대학교) 종합토론 좌장 전남대학교 부총장 토론자 황의선 부장(2012여수세계박람회 조직위원회 해외총괄부), 오운열 과장(국토해양부 해양정책과), 황두진 교수(전남대학교), KOICA 담당관, Stella Tukulya 국장(파푸아뉴기니 국가운송계획국), Kenji Sasa 국장(일본 요코하마시 환경국), 남태평양 피지 2인(사업 파트너) |
이전글 | 한국 물류기업 중국‘12․5 계획’적극 대비해야 |
다음글 | 2012년 BDI지수 1,600~1,800 전망 컨테이너 및 유조선은 다소 회복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