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산정책CEO포럼 창립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1-11-14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I, 원장 김학소)은 우리나라 수산업의 선진화 추진을 위해 수산업계 최고경영자(CEO)가 참여하는 「한국수산정책CEO포럼」창립 총회 및 창립기념 포럼을 11월 28일 서울교육문화회관(서울 서초구 양재동재)에서 개최한다.
수산정책 오피니언 리더의 통합적 논의의 장 마련 「한국수산정책CEO포럼(이하 수산CEO포럼)」은 글로벌화에 따른 수산업의 산업구조 선진화, 종합적이고 책임 있는 수산정책 의견 수렴 조직 구성, 글로벌화에 대응할 기업중심의 수산정책 네트워크 구축 등을 목적으로 창립한다. 수산CEO포럼은 수산CEO분과와 산업분과를 두고, 산․학․연․정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수산현안 발굴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한 노력 등 수산정책 전체를 아우르는 책임 있고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산CEO포럼은 오는 11월 28일 오후 1시 30분 창립총회를 개치하여 포럼취지 설명, 정관 채택, 임원 선출 등을 할 예정이며, 이사회 및 회원 100여 명 정도가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제1차 수산CEO포럼에서 우리나라 수산정책의 미래 논의 창립 총회 직후에 개최될 제1차 수산CEO포럼은 「미래 수산업의 방향」을 주제로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을 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 임광수 수산정책실장이 “미래 수산업 생존을 위한 차세대 수산업 선장동력 구축 계획”에 대해, KMI 김정봉 수산연구본부장이 ‘100대 수산 현안 과제’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후 종합토론에서는 한국수산회 박재영 회장이 좌장으로 나서고, 지정토론과 자유토론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수산정책의 미래를 전망하고 추진과제 등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창립되는 수산CEO포럼은 한국 수산업의 미래를 논의하고 정부에 책임 있는 정책을 제언할 수 있는 논의 체계를 구축하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우리나라 수산정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끝> |
한국수산정책CEO포럼 창립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1-11-14 |
파일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I, 원장 김학소)은 우리나라 수산업의 선진화 추진을 위해 수산업계 최고경영자(CEO)가 참여하는 「한국수산정책CEO포럼」창립 총회 및 창립기념 포럼을 11월 28일 서울교육문화회관(서울 서초구 양재동재)에서 개최한다.
수산정책 오피니언 리더의 통합적 논의의 장 마련 「한국수산정책CEO포럼(이하 수산CEO포럼)」은 글로벌화에 따른 수산업의 산업구조 선진화, 종합적이고 책임 있는 수산정책 의견 수렴 조직 구성, 글로벌화에 대응할 기업중심의 수산정책 네트워크 구축 등을 목적으로 창립한다. 수산CEO포럼은 수산CEO분과와 산업분과를 두고, 산․학․연․정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수산현안 발굴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한 노력 등 수산정책 전체를 아우르는 책임 있고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산CEO포럼은 오는 11월 28일 오후 1시 30분 창립총회를 개치하여 포럼취지 설명, 정관 채택, 임원 선출 등을 할 예정이며, 이사회 및 회원 100여 명 정도가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제1차 수산CEO포럼에서 우리나라 수산정책의 미래 논의 창립 총회 직후에 개최될 제1차 수산CEO포럼은 「미래 수산업의 방향」을 주제로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을 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에서는 농림수산식품부 임광수 수산정책실장이 “미래 수산업 생존을 위한 차세대 수산업 선장동력 구축 계획”에 대해, KMI 김정봉 수산연구본부장이 ‘100대 수산 현안 과제’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후 종합토론에서는 한국수산회 박재영 회장이 좌장으로 나서고, 지정토론과 자유토론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수산정책의 미래를 전망하고 추진과제 등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창립되는 수산CEO포럼은 한국 수산업의 미래를 논의하고 정부에 책임 있는 정책을 제언할 수 있는 논의 체계를 구축하는데 큰 의미가 있으며, 향후 우리나라 수산정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끝> |
이전글 | 동북아 해양문제의 해결방안 제시 |
다음글 | KMI,「100대 수산 현안 과제집」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