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국민 생선’가격 동향 조사한다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2-12-21
파일

KMI, 고등어 오징어 갈치 명태 수급 실태 모니터링
가격 변동 폭이 큰 어종 대상, 물가 안정화에 기여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는 고등어와 갈치 등이 공공기관의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학소)은 21일 기자 간담회에서 네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중 어종인 고등어, 오징어, 갈치, 명태를 대상으로 수급 및 가격 동향 조사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들 대중성 어종은 국내 수산물 소비량인 398만 톤 중 18.2%에 해당하는 73만 톤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어종은 최근 생산량 변동이 심화되면서 가격 불안정을 야기시켜 왔다. 이러한 예들로, 고등어와 갈치는 연근해 생산량의 연간 변동폭이 최근 10년 동안 -45%~+35%대의 극심한 변동을 보여 왔고, 오징어와 명태는 국내 공급량 중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주변국의 시장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아 왔다.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을 대상으로 국내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이들 어종의 가격 및 수급 불안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물가관리체제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모으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의 다양한 정보 즉, 생산, 시장, 수출입, 재고, 해외시장 가격, 어황 등의 동향을 격주간 단위로 수집?분석하여 정부의 수산물 수매?비축?방출과 관련된 물가관리정책 수립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아울러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의 가격 안정을 통한 소비자 가계 부담을 완화하고, 이들 어종의 장기적 가격 안정화를 실현해 나갈 뿐만 아니라,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소하여 생산자, 유통업자, 도?소매업자의 경영을 안정화 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실시하게 될 예정이며, 2013년 상반기에 이들 어종의 국내외 가격 및 수급 자료 수집, 표본 설정, 자문위원 구성, 동향 분석 및 검정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과정을 거치는 시범 사업을 수행한 후, 하반기부터 매월 2회 대중성 어종의 수급 및 가격동향 조사 정보지를 발간할 계획이다. 또한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의 수급 및 가격 안정화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중성 어종의 가격 변동을 평시, 주의, 경계, 위기 등 4단계로 구분하는 가격 안정 밴드를 설정하여, 이들 어종의 물가관리에 만전을 기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밝혔다. <끝>

보도자료 상세보기
‘국민 생선’가격 동향 조사한다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2-12-21
파일

KMI, 고등어 오징어 갈치 명태 수급 실태 모니터링
가격 변동 폭이 큰 어종 대상, 물가 안정화에 기여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는 고등어와 갈치 등이 공공기관의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됐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학소)은 21일 기자 간담회에서 네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중 어종인 고등어, 오징어, 갈치, 명태를 대상으로 수급 및 가격 동향 조사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들 대중성 어종은 국내 수산물 소비량인 398만 톤 중 18.2%에 해당하는 73만 톤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어종은 최근 생산량 변동이 심화되면서 가격 불안정을 야기시켜 왔다. 이러한 예들로, 고등어와 갈치는 연근해 생산량의 연간 변동폭이 최근 10년 동안 -45%~+35%대의 극심한 변동을 보여 왔고, 오징어와 명태는 국내 공급량 중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주변국의 시장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아 왔다.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을 대상으로 국내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이들 어종의 가격 및 수급 불안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물가관리체제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모으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의 다양한 정보 즉, 생산, 시장, 수출입, 재고, 해외시장 가격, 어황 등의 동향을 격주간 단위로 수집?분석하여 정부의 수산물 수매?비축?방출과 관련된 물가관리정책 수립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아울러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의 가격 안정을 통한 소비자 가계 부담을 완화하고, 이들 어종의 장기적 가격 안정화를 실현해 나갈 뿐만 아니라,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소하여 생산자, 유통업자, 도?소매업자의 경영을 안정화 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서 실시하게 될 예정이며, 2013년 상반기에 이들 어종의 국내외 가격 및 수급 자료 수집, 표본 설정, 자문위원 구성, 동향 분석 및 검정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과정을 거치는 시범 사업을 수행한 후, 하반기부터 매월 2회 대중성 어종의 수급 및 가격동향 조사 정보지를 발간할 계획이다. 또한 이 사업은 대중성 어종의 수급 및 가격 안정화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중성 어종의 가격 변동을 평시, 주의, 경계, 위기 등 4단계로 구분하는 가격 안정 밴드를 설정하여, 이들 어종의 물가관리에 만전을 기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밝혔다. <끝>

이전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전망대회 새해 1월 10일 개최
다음글 한국 물류기술 산업의 새로운 기회와 도전 모색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