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한·EU FTA 발효 2년 - 주요 수산물 교역 동향 분석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07-04
파일

한·EU FTA 발효 2년: 주요 수산물 교역 동향 분석
“수산물 수입 증가에도 불구, 국내 수산업에 미친 영향 미미”

◇ 한·EU FTA 발효 2년차('12.7.1.~'13.5.31.) EU산 수산물 수입액은 9천 3백만$로 발효 전 동기('10.7.1.~'11.5.31.) 대비 6.0% 증가하였고, 對EU 수산물 수출액은 9천 6백만$로 발효 전 동기 대비 18.0% 감소하였음
 ○ 발효 2년차 수산물 수입액 증가는 수산물 수입 단가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수입물량은 발효 전 대비 2.7% 감소
    * 對EU 수산물(소금제외) 수입단가($/㎏) : (발효 전) 5.3 → (발효 2년차) 5.9
    * 對EU 수산물 수입량(톤) : (발효 전) 18,705 → (발효 2년차) 18,194
 ○ FTA 발효 이후 우리나라의 對EU 수산물 무역수지는 흑자기조를 유지
    * 對EU 수산물 무역수지(천$) : (발효 전) 28,905 → (발효 1년차) 2,170 → (발효 2년차) 2,634
◇ (수입) 對EU 주요 수입 품목인 골뱅이, 볼락류 등 일부 품목의 수입이 증가하였으나, 국내 수산업에 미친 영향은 미미함
    * 골뱅이 수입 : (발효 전) 25백만$ → (발효 1년차) 29백만$ → (발효 2년차) 34백만$
    * 볼락류 수입 : (발표 전) 3.6백만$ → (발효 1년차) 3.1백만$ → (발효 2년차) 4.5백만$
 ○ 골뱅이, 볼락류 등은 관세가 인하된 가운데 수입이 증가하였으나, FTA 발효 전 대비 국내 가격은 상승
    * 골뱅이 생산가격(원/kg) : (발효 전) 4,276 → (발효 1년차) 4,466 → (발효 2년차) 4,814
    * 볼락류 생산가격(원/kg) : (발효 전) 5,777 → (발효 1년차) 6,036 → (발효 2년차) 5,930
◇ (수출) 對EU 수산물 수출은 최근 계속된 유럽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가운데, 일부 품목의 수출이 증가함
 ○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높은 품목이자 관세가 인하된 김, 굴 등을 비롯, 일부 품목의 2년차 수출은 발효 전 대비 증가
    * 김 : (발효 전) 2.9백만$ → (발효 1년차) 2.7백만$ → (발효 2년차) 5.5백만$
    * 굴 : (발효 전) 1.2백만$ → (발효 1년차) 1.5백만$ → (발효 2년차) 1.5백만$


※ 주요 통계 수치의 비교 기간은 ’10.7.1~’11.5.31, ’11.7.1~’12.5.31, ’12.7.1~’13.5.31 까지 입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한·EU FTA 발효 2년 - 주요 수산물 교역 동향 분석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07-04
파일

한·EU FTA 발효 2년: 주요 수산물 교역 동향 분석
“수산물 수입 증가에도 불구, 국내 수산업에 미친 영향 미미”

◇ 한·EU FTA 발효 2년차('12.7.1.~'13.5.31.) EU산 수산물 수입액은 9천 3백만$로 발효 전 동기('10.7.1.~'11.5.31.) 대비 6.0% 증가하였고, 對EU 수산물 수출액은 9천 6백만$로 발효 전 동기 대비 18.0% 감소하였음
 ○ 발효 2년차 수산물 수입액 증가는 수산물 수입 단가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수입물량은 발효 전 대비 2.7% 감소
    * 對EU 수산물(소금제외) 수입단가($/㎏) : (발효 전) 5.3 → (발효 2년차) 5.9
    * 對EU 수산물 수입량(톤) : (발효 전) 18,705 → (발효 2년차) 18,194
 ○ FTA 발효 이후 우리나라의 對EU 수산물 무역수지는 흑자기조를 유지
    * 對EU 수산물 무역수지(천$) : (발효 전) 28,905 → (발효 1년차) 2,170 → (발효 2년차) 2,634
◇ (수입) 對EU 주요 수입 품목인 골뱅이, 볼락류 등 일부 품목의 수입이 증가하였으나, 국내 수산업에 미친 영향은 미미함
    * 골뱅이 수입 : (발효 전) 25백만$ → (발효 1년차) 29백만$ → (발효 2년차) 34백만$
    * 볼락류 수입 : (발표 전) 3.6백만$ → (발효 1년차) 3.1백만$ → (발효 2년차) 4.5백만$
 ○ 골뱅이, 볼락류 등은 관세가 인하된 가운데 수입이 증가하였으나, FTA 발효 전 대비 국내 가격은 상승
    * 골뱅이 생산가격(원/kg) : (발효 전) 4,276 → (발효 1년차) 4,466 → (발효 2년차) 4,814
    * 볼락류 생산가격(원/kg) : (발효 전) 5,777 → (발효 1년차) 6,036 → (발효 2년차) 5,930
◇ (수출) 對EU 수산물 수출은 최근 계속된 유럽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가운데, 일부 품목의 수출이 증가함
 ○ 우리나라의 경쟁력이 높은 품목이자 관세가 인하된 김, 굴 등을 비롯, 일부 품목의 2년차 수출은 발효 전 대비 증가
    * 김 : (발효 전) 2.9백만$ → (발효 1년차) 2.7백만$ → (발효 2년차) 5.5백만$
    * 굴 : (발효 전) 1.2백만$ → (발효 1년차) 1.5백만$ → (발효 2년차) 1.5백만$


※ 주요 통계 수치의 비교 기간은 ’10.7.1~’11.5.31, ’11.7.1~’12.5.31, ’12.7.1~’13.5.31 까지 입니다.

이전글 7월 KMI 수산물산지가격지수 발표 보도자료(6월 기준)
다음글 6월 KMI 수산물산지가격지수 발표 보도자료(5월 기준)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