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수산분야 FTA 지원 강화한다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08-21
파일

수산분야 FTA 지원 강화한다
“어업인 대상 수산분야 FTA 상담 콜센터 등 설치”

  FTA 이행 조사?분석, 국내 보완대책 이행·점검 등 수행
 
  FTA 체결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FTA 시대 수산물 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해 FTA 이행으로 유발된 어업인 피해에 대한 효과적 지원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경쟁력 제고를 통해 어업인 등의 경영 및 생활 안정 추구를 목적으로 다양한 국내 보완대책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이하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 국내 보완대책의 일환으로서,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해 2012년 3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에 설립했다.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 이행에 대해 수산분야 전체를 아우르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관련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어업인등 지원센터의 주요 사업을 보면 FTA 이행에 따른 수산분야 수입 ?가격 동향의 체계적 조사?분석, D/B 구축, 수산분야 국내 보완대책의 점검?이행 지원 및 성과 평가, 직접피해보전제도 발동요건 평가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FTA와 관련된 어업인 상담?안내 지원을 통해 FTA 국내 보완대책의 홍보와 사업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어업인 대상 수산분야 FTA 상담 지원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에 관련된 수산업 현장의 우려와 궁금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콜센터(☎1644-4116)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어업인을 비롯, 수산관계자는 콜센터를 통해 직접피해보전제도, 경쟁력 강화 대책 등의 FTA 국내 보완대책, FTA 추진 동향 등에 대해 1:1 안내?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에 따른 국내 동향, FTA 국내대책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홈페이지(http://support.kmi.re.kr)도 준비 중이다. 홈페이지가 9월 중 오픈되면, 수산분야 FTA 정보에 대한 접근이 보다 더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끝>
   

보도자료 상세보기
수산분야 FTA 지원 강화한다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08-21
파일

수산분야 FTA 지원 강화한다
“어업인 대상 수산분야 FTA 상담 콜센터 등 설치”

  FTA 이행 조사?분석, 국내 보완대책 이행·점검 등 수행
 
  FTA 체결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FTA 시대 수산물 시장 개방 확대에 대응해 FTA 이행으로 유발된 어업인 피해에 대한 효과적 지원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경쟁력 제고를 통해 어업인 등의 경영 및 생활 안정 추구를 목적으로 다양한 국내 보완대책을 수립?시행하고 있다.

  「자유무역협정(FTA) 이행에 따른 어업인등 지원센터(이하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 국내 보완대책의 일환으로서, ?자유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농어업인 등의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해 2012년 3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에 설립했다.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 이행에 대해 수산분야 전체를 아우르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관련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어업인등 지원센터의 주요 사업을 보면 FTA 이행에 따른 수산분야 수입 ?가격 동향의 체계적 조사?분석, D/B 구축, 수산분야 국내 보완대책의 점검?이행 지원 및 성과 평가, 직접피해보전제도 발동요건 평가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FTA와 관련된 어업인 상담?안내 지원을 통해 FTA 국내 보완대책의 홍보와 사업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어업인 대상 수산분야 FTA 상담 지원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에 관련된 수산업 현장의 우려와 궁금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콜센터(☎1644-4116)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어업인을 비롯, 수산관계자는 콜센터를 통해 직접피해보전제도, 경쟁력 강화 대책 등의 FTA 국내 보완대책, FTA 추진 동향 등에 대해 1:1 안내?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어업인등 지원센터는 FTA에 따른 국내 동향, FTA 국내대책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홈페이지(http://support.kmi.re.kr)도 준비 중이다. 홈페이지가 9월 중 오픈되면, 수산분야 FTA 정보에 대한 접근이 보다 더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끝>
   

이전글 8월 KMI 수산물산지가격지수 발표 보도자료(7월 기준)
다음글 7월 KMI 수산물산지가격지수 발표 보도자료(6월 기준)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