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수산종자 관측사업 시작한다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10-14
파일

“수산종자 관측사업 시작한다”
KMI, 연구용역 착수, 내년부터 시범 실시


해양수산부는 창조경제 생태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수산종자산업을 시장 수급을 고려한 안정적 생산 기반 하에서 전략적으로 성장·육성시키고자 2014년부터 수산종자 생산관측 사업을 시범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올해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발주한 「수산종자 생산관측 연구용역」사업을 위탁받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수산종자 생산관측 사업을 실시함에 있어 요구되어지는 수산종자 생산실태 파악 및 수산종자 생산관측 시스템 설계, 그리고 연차별 품목 확대와 정책 연계 방안 등이다.
 
현재 우리나라 수산종자산업은 약 1,700억 원대의 시장 규모로 선진 수산국에 비해 규모가 적고, 수산종자업계도 대부분 영세하여 양식어가의 입식 수요를 고려한 계획 생산이 힘든 실정이다. 아울러 수산종자산업에 대한 국가통계 자료도 부족하여 공식적인 수산종자 생산량 통계는 없는 실정이다. 다만, 수산자원관리공단에서 취합된 수산종자 방류량 현황과 통계청이 보유한 양식어류에 한정된 어류 입식량 자료에 근거하여 양식어류 수산종자의 생산 총량을 추정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이에 해조류, 패류 등의 수산종자 생산량은 표준화된 종자 생산량 단위도 없어 정확한 생산량 추정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우리나라 수산종자산업 및 수산·양식산업의 발전에 있어 아주 중요한 수산종자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수산종자의 수정란업체, 생산업체 현황뿐만 아니라 이들 업체로부터 수산종자 생산량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그 동향을 관련 업계 및 기관, 그리고 정부에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수산종자의 해외시장 동향 및 수출입 정보, 그리고 수산종자의 정책동향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해양수산부는 수산종자 생산관측 사업을 기존의 수산업관측사업과 연계하여 수산양식정보를 종자에서부터 최종상품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축적하는 통계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수산종자 및 양식 어가가 상호 시장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수산종자의 생산량 조절 실패로 인해 발생 가능한 양식어종의 수급 불균형과 가격 불안정을 선제적으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수산종자 2~3 품목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수산종자 관측사업 시작한다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3-10-14
파일

“수산종자 관측사업 시작한다”
KMI, 연구용역 착수, 내년부터 시범 실시


해양수산부는 창조경제 생태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수산종자산업을 시장 수급을 고려한 안정적 생산 기반 하에서 전략적으로 성장·육성시키고자 2014년부터 수산종자 생산관측 사업을 시범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올해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발주한 「수산종자 생산관측 연구용역」사업을 위탁받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 내용은 수산종자 생산관측 사업을 실시함에 있어 요구되어지는 수산종자 생산실태 파악 및 수산종자 생산관측 시스템 설계, 그리고 연차별 품목 확대와 정책 연계 방안 등이다.
 
현재 우리나라 수산종자산업은 약 1,700억 원대의 시장 규모로 선진 수산국에 비해 규모가 적고, 수산종자업계도 대부분 영세하여 양식어가의 입식 수요를 고려한 계획 생산이 힘든 실정이다. 아울러 수산종자산업에 대한 국가통계 자료도 부족하여 공식적인 수산종자 생산량 통계는 없는 실정이다. 다만, 수산자원관리공단에서 취합된 수산종자 방류량 현황과 통계청이 보유한 양식어류에 한정된 어류 입식량 자료에 근거하여 양식어류 수산종자의 생산 총량을 추정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이에 해조류, 패류 등의 수산종자 생산량은 표준화된 종자 생산량 단위도 없어 정확한 생산량 추정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우리나라 수산종자산업 및 수산·양식산업의 발전에 있어 아주 중요한 수산종자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수산종자의 수정란업체, 생산업체 현황뿐만 아니라 이들 업체로부터 수산종자 생산량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 그 동향을 관련 업계 및 기관, 그리고 정부에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수산종자의 해외시장 동향 및 수출입 정보, 그리고 수산종자의 정책동향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해양수산부는 수산종자 생산관측 사업을 기존의 수산업관측사업과 연계하여 수산양식정보를 종자에서부터 최종상품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축적하는 통계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수산종자 및 양식 어가가 상호 시장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수산종자의 생산량 조절 실패로 인해 발생 가능한 양식어종의 수급 불균형과 가격 불안정을 선제적으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2014년부터 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수산종자 2~3 품목을 선정하여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전글 전복 양식업 성장세 둔화
다음글 KMI, 아프리카 수산업 발전 지원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