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 결과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4-11-12
파일


                      변화가 수산물 생산에 큰 영향 예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설문결과 발표

◇ 우리나라 어업인들은 향후 기후변화가 수산물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 설문조사 결과 어업인 중 약 85%가 수온변화, 기상 이변, 해수면 상승 등의 기후변화를 경험했다고 답변하였다.

◇ 지난 10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과제로 수행 중인 “수산분야 기후변화 평가 모델 구축” 연구와 관련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 조사결과, 기후변화를 ‘자주 경험한다’는 응답이 41.8%, ‘몇 차례 경험한다’는 응답이 21.0%, ‘아주 약간 경험한다’는 응답이 21.7%로 응답자의 84.5%가 기후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기후변화가 어업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어업인이 79.9%로 어업인 대부분이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으며, 향후 ‘기후변화가 수산물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것’(85.5%)으로 평가하였다.
 
○ 기후변화와 관련 응답자의 50.2%는 ‘어장 이동, 어구·어법 또는 양식방법 개선’, ‘자연재해 대비 어선 및 시설 개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응답자의 49.5%는 ‘어떻게 대응할지 모름’, ‘기후변화에 인간이 대응하기 어려움’ 등의 이유로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고 있으나, 향후 ‘기후변화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92.3%)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후변화 위험을 대비하기 위한 수단인 수산 관련 보험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43.9%가 가입하였으며, 56.1%는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어업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정보 제공 강화’(30.3%), ‘기후변화에 대한 수산분야 연구·개발 강화’(26.8%), ‘수산재해 대비 경영안전망 확충’(2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이번 조사는 2014년 10월 전국 광역시도에 거주하고 있는 어업인 628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최대허용오차 범위는 ±3.9%p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봉태 전문연구원(☎02-2105-2751), 이상건 연구원(☎02-2105-299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 결과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4-11-12
파일


                      변화가 수산물 생산에 큰 영향 예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설문결과 발표

◇ 우리나라 어업인들은 향후 기후변화가 수산물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 설문조사 결과 어업인 중 약 85%가 수온변화, 기상 이변, 해수면 상승 등의 기후변화를 경험했다고 답변하였다.

◇ 지난 10월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김성귀)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과제로 수행 중인 “수산분야 기후변화 평가 모델 구축” 연구와 관련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

◇ 조사결과, 기후변화를 ‘자주 경험한다’는 응답이 41.8%, ‘몇 차례 경험한다’는 응답이 21.0%, ‘아주 약간 경험한다’는 응답이 21.7%로 응답자의 84.5%가 기후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기후변화가 어업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어업인이 79.9%로 어업인 대부분이 기후변화가 수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으며, 향후 ‘기후변화가 수산물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것’(85.5%)으로 평가하였다.
 
○ 기후변화와 관련 응답자의 50.2%는 ‘어장 이동, 어구·어법 또는 양식방법 개선’, ‘자연재해 대비 어선 및 시설 개선’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응답자의 49.5%는 ‘어떻게 대응할지 모름’, ‘기후변화에 인간이 대응하기 어려움’ 등의 이유로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고 있으나, 향후 ‘기후변화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부분(92.3%)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후변화 위험을 대비하기 위한 수단인 수산 관련 보험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43.9%가 가입하였으며, 56.1%는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어업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정보 제공 강화’(30.3%), ‘기후변화에 대한 수산분야 연구·개발 강화’(26.8%), ‘수산재해 대비 경영안전망 확충’(2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이번 조사는 2014년 10월 전국 광역시도에 거주하고 있는 어업인 628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최대허용오차 범위는 ±3.9%p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김봉태 전문연구원(☎02-2105-2751), 이상건 연구원(☎02-2105-299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2014년 글로벌 물류기업 CEO 포럼 개최
다음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게해 해양해사법연구소 MOU 체결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