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KMI 해양수산 전망대회 개최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5-01-05 |
파일 |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성귀)은 2015년 1월 7일(수)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해양수산분야 업계, 학계, 연구계 전문가 및 공무원 1,000여명이 참석하는 ?2015 KMI 해양수산 전망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KMI 해양수산 전망대회』는 세계경제 및 산업동향 분석을 통해 해양수산 부문의 향후 시장변화를 예측하고, 그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매년 초에 개최되는 연례행사로, 특히 이번 전망대회에서는 셰일자원 혁명, 국제유가 하락, 중국경제 성장 둔화, 글로벌 교역구조 변화, IoT/드론/3D프린팅 등 미래 신기술이 해양수산 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대응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될 예정이다. □ 제1부 개회식은 김성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김영석 해양수산부 차관, 이윤재 전국해양산업총연합회 회장, 이종구 한국수산산업총연합회 회장의 축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 개회식에 이어 베인앤컴퍼니 코리아 이성용 대표의 ‘2015 세계 경제 및 국내 경제 전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임진수 부원장의 ‘2015 해양수산 주요 이슈와 전망’에 대한 기조발표 시간을 갖는다. □ 이어서 제2부는 총 5개 세션으로 진행되며, 해운·물류 Session에서는 ‘2015 국내외 해운 이슈와 전망’ 등 3개 주제, 해사안전 Session에서는 ‘2015 해사안전 주요 이슈와 전망’ 등 3개 주제, 항만물류 Session에서는 ‘2015 항만물류 주요 이슈와 전망’ 등 6개 주제, 수산 Session에서는 ‘2015 우리나라 수산업의 부문별 전망’ 등 6개 주제, 수산관측 Session에서는 ‘2015 양식산업 수급 전망’ 등 6개 주제 발표와 종합토론이 각각 있을 예정이다. □ 이번 전망대회를 통해 우리나라 해양수산 업계의 위기 극복에 필요한 경영전략과 국가 신성장동력으로서의 해양수산업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방안들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대외협력·홍보실 한창동 실장(02-2105-272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2015 KMI 해양수산 전망대회 개최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5-01-05 |
파일 |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성귀)은 2015년 1월 7일(수)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해양수산분야 업계, 학계, 연구계 전문가 및 공무원 1,000여명이 참석하는 ?2015 KMI 해양수산 전망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KMI 해양수산 전망대회』는 세계경제 및 산업동향 분석을 통해 해양수산 부문의 향후 시장변화를 예측하고, 그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매년 초에 개최되는 연례행사로, 특히 이번 전망대회에서는 셰일자원 혁명, 국제유가 하락, 중국경제 성장 둔화, 글로벌 교역구조 변화, IoT/드론/3D프린팅 등 미래 신기술이 해양수산 부문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대응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될 예정이다. □ 제1부 개회식은 김성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원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김영석 해양수산부 차관, 이윤재 전국해양산업총연합회 회장, 이종구 한국수산산업총연합회 회장의 축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 개회식에 이어 베인앤컴퍼니 코리아 이성용 대표의 ‘2015 세계 경제 및 국내 경제 전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임진수 부원장의 ‘2015 해양수산 주요 이슈와 전망’에 대한 기조발표 시간을 갖는다. □ 이어서 제2부는 총 5개 세션으로 진행되며, 해운·물류 Session에서는 ‘2015 국내외 해운 이슈와 전망’ 등 3개 주제, 해사안전 Session에서는 ‘2015 해사안전 주요 이슈와 전망’ 등 3개 주제, 항만물류 Session에서는 ‘2015 항만물류 주요 이슈와 전망’ 등 6개 주제, 수산 Session에서는 ‘2015 우리나라 수산업의 부문별 전망’ 등 6개 주제, 수산관측 Session에서는 ‘2015 양식산업 수급 전망’ 등 6개 주제 발표와 종합토론이 각각 있을 예정이다. □ 이번 전망대회를 통해 우리나라 해양수산 업계의 위기 극복에 필요한 경영전략과 국가 신성장동력으로서의 해양수산업의 위상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방안들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대외협력·홍보실 한창동 실장(02-2105-272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4년 12월 해운업 BSI 조사결과 |
다음글 | KMI 한·중 FTA 대응방안 세미나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