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2015년 3월 KMI 수산물산지가격지수 발표 보도자료(2월 기준)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5-04-08
파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성귀)은 2015년 2월의 연근해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FPPI)와 양식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APPI)를 발표하였다. KMI가 발표한 수산물 산지가격지수는 다음과 같다.

2015년 2월의 연근해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FPPI)

  2015년 1월 지수, 전월 대비 27% 상승한 113.2
  2015년 1월의 KMI-FPPI는 13.2로 전월에 비해 27% 상승하였다. 1월의 경우 참조기, 갈치, 오징어, 꽃게, 고등어 등의 생산량이 지난 달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어종 이외에도 가자미 등 모니터링 어종 상당수의 생산가격이 상승한 가운데, 1월 지수는 전월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2015년 2월 지수, 전월보다 12.2% 상승한 127.1
  2015년 2월의 KMI-FPPI는 127.1(잠정치)로 전월에 비해 12.2% 상승하였다. 2월 오징어, 갈치, 붕장어, 참조기, 문어 등의 생산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하면서, 총 지수의 상승을 견인하였다. 이들 어종의 생산가격은 어획량 감소, 명절로 인한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월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한편, ’15년 2월 지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27.3% 상승하였다.

2015년 2월의 양식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APPI)
 
  2015년 1월의 KMI-APPI, 전월보다 6.2% 하락한 97.1
  2015년 1월의 KMI-APPI는 97.1로 전월보다 6.2% 하락하였다. 생산이 다소 줄어든 김 가격이 상승했고, 광어 가격 또한 공급 감소의 영향으로 다소 상승했다. 그러나 12월까지 김장 수요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던 굴 산지가격이 1월 들어 큰 폭으로 하락함에 따라 1월의 양식지수는 전월보다 하락한 97.1을 기록하였다.   한편 우럭과 전복의 가격은 크기별로 소폭의 등락은 있었으나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015년 2월 지수, 전월보다 4.5% 하락한 92.7
  2015년 2월의 KMI-APPI는 92.7(잠정치)로 전월보다 4.5% 하락했다. 예년과 달리 굴 가격이 2월 들어서도 설 명절 및 일본으로 냉동굴 수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상승하였으며, 광어는 1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김 위판가격이 다소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우럭 및 전복의 가격 또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2월의 양식지수는 전월보다 하락한 92.7을 기록했다.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광어를 제외한 우럭, 굴, 김 등의 가격이 매우 높은 수준을 보임에 따라 2015년 2월의 양식수산물산지가격지수는 작년보다 9.3%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2015년 3월 KMI 수산물산지가격지수 발표 보도자료(2월 기준)
담당부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보도일 2015-04-08
파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성귀)은 2015년 2월의 연근해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FPPI)와 양식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APPI)를 발표하였다. KMI가 발표한 수산물 산지가격지수는 다음과 같다.

2015년 2월의 연근해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FPPI)

  2015년 1월 지수, 전월 대비 27% 상승한 113.2
  2015년 1월의 KMI-FPPI는 13.2로 전월에 비해 27% 상승하였다. 1월의 경우 참조기, 갈치, 오징어, 꽃게, 고등어 등의 생산량이 지난 달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어종 이외에도 가자미 등 모니터링 어종 상당수의 생산가격이 상승한 가운데, 1월 지수는 전월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2015년 2월 지수, 전월보다 12.2% 상승한 127.1
  2015년 2월의 KMI-FPPI는 127.1(잠정치)로 전월에 비해 12.2% 상승하였다. 2월 오징어, 갈치, 붕장어, 참조기, 문어 등의 생산가격이 전월 대비 상승하면서, 총 지수의 상승을 견인하였다. 이들 어종의 생산가격은 어획량 감소, 명절로 인한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월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한편, ’15년 2월 지수는 전년 동월에 비해 27.3% 상승하였다.

2015년 2월의 양식수산물산지가격지수(KMI-APPI)
 
  2015년 1월의 KMI-APPI, 전월보다 6.2% 하락한 97.1
  2015년 1월의 KMI-APPI는 97.1로 전월보다 6.2% 하락하였다. 생산이 다소 줄어든 김 가격이 상승했고, 광어 가격 또한 공급 감소의 영향으로 다소 상승했다. 그러나 12월까지 김장 수요의 영향으로 강세를 보였던 굴 산지가격이 1월 들어 큰 폭으로 하락함에 따라 1월의 양식지수는 전월보다 하락한 97.1을 기록하였다.   한편 우럭과 전복의 가격은 크기별로 소폭의 등락은 있었으나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015년 2월 지수, 전월보다 4.5% 하락한 92.7
  2015년 2월의 KMI-APPI는 92.7(잠정치)로 전월보다 4.5% 하락했다. 예년과 달리 굴 가격이 2월 들어서도 설 명절 및 일본으로 냉동굴 수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상승하였으며, 광어는 1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김 위판가격이 다소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우럭 및 전복의 가격 또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2월의 양식지수는 전월보다 하락한 92.7을 기록했다.
작년 동월과 비교하면 광어를 제외한 우럭, 굴, 김 등의 가격이 매우 높은 수준을 보임에 따라 2015년 2월의 양식수산물산지가격지수는 작년보다 9.3%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전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산 신청사 개원식 개최
다음글 제2회‘양식보험 발전방안 워크숍’개최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