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해운업BSI 조사결과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6-02-02 |
파일 | |||
□ (업황) 2016년 1월, 국내 해운기업의 체감경기 지수는 ‘13년 8월 조사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51을 기록함 o 특히 건화물 부문은 28(전월비-12)을 기록, 응답기업의 대부분이 업황을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있음 - BDI가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건화물선 선사의 체감경기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음 * 건화물 부문 응답 업체 수가 전체 110개 응답 기업 중 57개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o 컨테이너선과 유조선 부문은 각각 72(전월비+2), 85(-3)를 기록함 o 중국 경제의 경착률 우려, 중동지역 불안,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선사들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임 o 또한 저유가와 신흥국 시장의 저성장 기조가 예상됨에 따라 수요는 위축되는 반면, 2014년 발주한 신조선 인도량이 늘어나면서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 (경영부문) 채산성 62(전월비-18), 자금사정 68(-15), 매출 61(+1) 전 항목에서 부진이 지속됨 □ (전망) 응답기업은 지속되는 물동량 부족과 불확실한 경제상황으로 2월에도 대체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o 컨테이너선과 건화물선 부문은 각각 역대 최저치인 44(전월비-28)와 35(+7)를 기록함 o 다만, 유조선의 매출 부문은 108을 기록, 실적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보여줌 |
2016년 1월 해운업BSI 조사결과 | |||
---|---|---|---|
담당부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보도일 | 2016-02-02 |
파일 | |||
□ (업황) 2016년 1월, 국내 해운기업의 체감경기 지수는 ‘13년 8월 조사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51을 기록함 o 특히 건화물 부문은 28(전월비-12)을 기록, 응답기업의 대부분이 업황을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있음 - BDI가 연일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건화물선 선사의 체감경기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음 * 건화물 부문 응답 업체 수가 전체 110개 응답 기업 중 57개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함 o 컨테이너선과 유조선 부문은 각각 72(전월비+2), 85(-3)를 기록함 o 중국 경제의 경착률 우려, 중동지역 불안,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선사들의 불안감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임 o 또한 저유가와 신흥국 시장의 저성장 기조가 예상됨에 따라 수요는 위축되는 반면, 2014년 발주한 신조선 인도량이 늘어나면서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 (경영부문) 채산성 62(전월비-18), 자금사정 68(-15), 매출 61(+1) 전 항목에서 부진이 지속됨 □ (전망) 응답기업은 지속되는 물동량 부족과 불확실한 경제상황으로 2월에도 대체로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o 컨테이너선과 건화물선 부문은 각각 역대 최저치인 44(전월비-28)와 35(+7)를 기록함 o 다만, 유조선의 매출 부문은 108을 기록, 실적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보여줌 |
이전글 | 해양수산 빅데이터 국제 세미나 |
다음글 | 『2016 부산 해양수산 전망대회』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