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일본 동경해양대학교 공동심포지엄, 유라시아 경제 동맹 성립 등 대내외 수산 환경 변화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 | |||
---|---|---|---|
담당부서 | 수산연구본부 | 보도일 | 2016-11-28 |
파일 | |||
KMI–일본 동경해양대학교 공동심포지엄, ◎ 일 시 : 2016. 11. 25(금), 13:00~18:00 □ KMI와 일본 동경해양대학교는 2012년 1월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를 체결한 이래 매년 한국과 일본에서 번갈아가며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한․일 어촌 및 수산무역 환경 변화」라는 주제로 KMI에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 한일 양국 어촌 경제의 화두가 되고 있는 고령화 문제에 대한 양국 전문가의 주제 발표가 있었다. □ 또한 한일 양국을 둘러싼 대외환경의 변화와 관련해 2개의 주제 발표가 이뤄졌다. 김봉태 FTA 이행지원센터장이 「미국 대선 및 TPP와 관련한 무역이슈와 수산물 교역」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한국, 중국, 일본간 수산물 교역 영향을 살펴보았다. |
KMI–일본 동경해양대학교 공동심포지엄, 유라시아 경제 동맹 성립 등 대내외 수산 환경 변화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 | |||
---|---|---|---|
담당부서 | 수산연구본부 | 보도일 | 2016-11-28 |
파일 | |||
KMI–일본 동경해양대학교 공동심포지엄, ◎ 일 시 : 2016. 11. 25(금), 13:00~18:00 □ KMI와 일본 동경해양대학교는 2012년 1월 양해각서(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를 체결한 이래 매년 한국과 일본에서 번갈아가며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한․일 어촌 및 수산무역 환경 변화」라는 주제로 KMI에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 한일 양국 어촌 경제의 화두가 되고 있는 고령화 문제에 대한 양국 전문가의 주제 발표가 있었다. □ 또한 한일 양국을 둘러싼 대외환경의 변화와 관련해 2개의 주제 발표가 이뤄졌다. 김봉태 FTA 이행지원센터장이 「미국 대선 및 TPP와 관련한 무역이슈와 수산물 교역」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한국, 중국, 일본간 수산물 교역 영향을 살펴보았다. |
이전글 | KMI, 부산지식융합협회 유라시아 아카데미 공동개최 |
다음글 | KMI, 차세대 항만 「저탄소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동적모형」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