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홈KMI소식보도자료보도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해외시장분석센터,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배포
담당부서 FTA 이행지원센터 보도일 2016-12-29
파일

KMI 해외시장분석센터,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 배포


□ 중국 내 수산물 소비가 증가하고 한-중 FTA 발효에 따른 수산물 시장 개방으로 우리나라 수산물의 對중국 수출 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양창호) 해외시장분석센터가 중국의 수산물 수입 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를 배포하였다.
 
□ 본 정보지는 중국의 2016년 3분기까지의 수산물 수입 동향에 대한 통계를 국가별, 품목별, 지역별로 제공한다. 
○ 중국은 2013년 86억 달러, 2014년 92억, 2015년 89억 달러의 수산물을 수입하였으며, 2016년 3분기까지 68억 달러를 수입하면서 전년동기대비 수입액이 2.7% 증가하였다. 
○ 주요 수입대상국은 미국, 러시아, 페루, 캐나다, 인도네시아 등으로 對페루 수입액이 21.8% 감소하였지만 캐나다, 뉴질랜드, 칠레, 태국 등 대부분 국가에 대한 수입액이 증가하였고, 對한국 수입액은 1억 8천만 달러(14위)로 전년동기대비 23.7% 증가하였다.
○ 주요 수입품목은 어분, 새우, 명태, 연어, 대구 등으로 명태와 오징어, 소금 수입액이 감소한 반면 새우, 연어, 대구, 게 수입액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인 김의 경우 8천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2.5% 증가하였다.
○ 중국 내 주요 수입지역은 칭다오, 다롄, 상하이, 광저우, 황푸, 푸저우 순으로 다섯 지역의 수입액이 중국 전체 수입액의 74.3%를 차지한다.


□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에 대한 문의사항 또는 수신신청 등은 KMI 해외시장분석센터 (☏1644-6419, 이메일 kfic@kmi.re.kr) 혹은 수산물수출정보포털(www.kfishinfo.net)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보도자료 상세보기
KMI 해외시장분석센터,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배포
담당부서 FTA 이행지원센터 보도일 2016-12-29
파일

KMI 해외시장분석센터,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 배포


□ 중국 내 수산물 소비가 증가하고 한-중 FTA 발효에 따른 수산물 시장 개방으로 우리나라 수산물의 對중국 수출 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원장 양창호) 해외시장분석센터가 중국의 수산물 수입 시장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를 배포하였다.
 
□ 본 정보지는 중국의 2016년 3분기까지의 수산물 수입 동향에 대한 통계를 국가별, 품목별, 지역별로 제공한다. 
○ 중국은 2013년 86억 달러, 2014년 92억, 2015년 89억 달러의 수산물을 수입하였으며, 2016년 3분기까지 68억 달러를 수입하면서 전년동기대비 수입액이 2.7% 증가하였다. 
○ 주요 수입대상국은 미국, 러시아, 페루, 캐나다, 인도네시아 등으로 對페루 수입액이 21.8% 감소하였지만 캐나다, 뉴질랜드, 칠레, 태국 등 대부분 국가에 대한 수입액이 증가하였고, 對한국 수입액은 1억 8천만 달러(14위)로 전년동기대비 23.7% 증가하였다.
○ 주요 수입품목은 어분, 새우, 명태, 연어, 대구 등으로 명태와 오징어, 소금 수입액이 감소한 반면 새우, 연어, 대구, 게 수입액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인 김의 경우 8천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2.5% 증가하였다.
○ 중국 내 주요 수입지역은 칭다오, 다롄, 상하이, 광저우, 황푸, 푸저우 순으로 다섯 지역의 수입액이 중국 전체 수입액의 74.3%를 차지한다.


□ 『중국의 수산물 수입 동향 - 2016 3분기』에 대한 문의사항 또는 수신신청 등은 KMI 해외시장분석센터 (☏1644-6419, 이메일 kfic@kmi.re.kr) 혹은 수산물수출정보포털(www.kfishinfo.net)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전글 2016년 12월 해운업 BSI 조사결과
다음글 한-아세안 양식포럼 개최, 한국과 ASEAN 다자간 양식분야 협력을 위한 교두보 마련
* *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